본문바로가기


지난호





지난호 보기

  • 표지 배경은 기본물리상수를 기반으로 개정 SI 단위계를 설명하는 그림이다, 왼쪽은 129년 만에 퇴임하는 국제킬로그램원기(IPK), 오른쪽은 플랑크 상수(h)를 기반으로 킬로그램을 2018년 3월 27권 3호 SI 기본단위 재정의 / 표지 배경은 기본물리상수를 기반으로 개정 SI 단위계를 설명하는 그림이다, 왼쪽은 129년 만에 퇴임하는 국제킬로그램원기(IPK), 오른쪽은 플랑크 상수(h)를 기반으로 킬로그램을 구현하는 KRISS 키블 저울 이미지이다, (표지 설명: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이호성 박사) ··· 더보기
  • 실험과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소재 정보 생산의 효율이 날로 향상됨에 따라 재료 연구 분야에서 기계 학습의 활용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빅데이터 구축과 재료 지문화 및 기계 학습 훈련 2018년 1/2월 27권 1/2호 물리학에서의 기계학습 II / 실험과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소재 정보 생산의 효율이 날로 향상됨에 따라 재료 연구 분야에서 기계 학습의 활용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빅데이터 구축과 재료 지문화 및 기계 학습 훈련을 통해 얻은 물성 예측 모델은 신 재료 설계를 위한 연구 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그림 작성 및 설명: Georgia Institute of Tech- nology 김치호 박사) ··· 더보기
  • 첨부파일 2017년 12월 26권 12호 물리학에서의 기계학습 I / 2016년 기계학습으로 바둑을 익힌 프로그램인 알파고가 프로 기사를 이긴 후에 기계학습과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모든 분야에서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물리학도 예외가 아니어서 분야를 막론하고 기계학습을 배우고 활용하려고 시도하는 모습들을 쉽게 볼 수 있다. 이에 현재 기계학습을 물리학에 실제로 이용하는 모습을 소개하고자 특집을 준비했다. (표지 설명: 경상대학교 물리교육과 교수 이강영) ··· 더보기
  • 첨부파일 2017년 11월 26권 11호 2017 노벨물리학상 / 2017년 노벨 물리학상은 LIGO를 제안하고 이를 현실화시킴으로서 중력파 검출에 크게 기여한 세 사람에게 돌아갔다. 이번 특집호에서는 이들의 업적을 자세히 조망해보고, 검출기의 원리와 구조에 대해 살펴본 후 중력파가 우주에 대한 이해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지 전망해 보았다. (표지 설명: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이형목 교수, 출처: Johan Jarnestad/The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s, Rainer Weiss’s Photo: Bryce Vickmark, Barry C. Barish’s Photo: Caltech, Kip S. Thorne’s Photo: Caltech Alumni Association) ··· 더보기
  • 첨부파일 2017년 10월 26권 10호 진화하는 DFT / 밀도범함수이론(Density functional theory, DFT)은 우리가 풀 수 없는 양자 다체(many-body) 문제를 밀도[n(r)]와 상호작용하는 가상의 단일입자(single-particle) 문제로 쉽게 만듦으로써, 소재의 양자역학적 특성 분석을 가능하게 했다. DFT의 발전은 계속 진행 중이며, 기존 DFT가 적용할 수 없었던 강상관 전자계 전자구조계산(왼쪽 위), 비평형 양자수송 계산(오른쪽 위와 왼쪽 아래), 들뜬 상태 계산(오른쪽 아래) 등 새로운 영역으로 나아가고 있다.(그림 제공: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방준혁 박사, 포항공과대학교 심지훈 교수, 한국과학기술원 김용훈 교수) ··· 더보기
  • Materials Genome 2017년 9월 26권 9호 Materials Genome / 일반적으로 초기능성 물질 설계/탐색을 위하여 특정 물성을 대표하는 제일원리계산 기반 목적함수(objective function)를 고안할 수 있다. 아울러 정의된 목적함수를 결정구조 공간에서 광역 최적화함으로써 초기능성 물질 설계/탐색을 완료할 수 있다. 태양광 흡수 성능이 매우 우수한 직접-밴드갭을 가지는 실리콘 초격자 결정구조를 초기능성 물질 설계/탐색의 예로서 표시하였다. (그림 제공: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이인호 박사) ··· 더보기
  • 첨부파일 2017년 7/8월 26권 7/8호 Organic Electronics / 사물인터넷 기술이 급진적으로 발전하고 수요 중심 시장으로 변모하는 현대사회에서 분자 전자소자 기반 센서 분야는 기능화 용이성, 유연/신축성, 저비용, 대면적 제조 용이성 등 다양한 장점을 지닌다. 그림은 유연/신축성 분자 전자소재 기반 센서의 다양한 응용분야를 나타내고 있다. 화학/바이오, 광, 압력센서 등으로 응용될 수 있는 분자 기반 센서 분야는 향후 웨어러블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 또는 환경 모니터링 기기 등과 같은 사물인터넷 환경의 핵심 구성 요소로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제공: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오준학 교수) ··· 더보기
  • 거의 빛의 속도로 움직이는 전자의 운동방향을 바꿀 때 매우 강력한 X-선이 발생하는 데 이를 방사광(synchrotron radiation)이라고 한다. X-선 자유전자레이저는 X 2017년 6월 26권 6호 방사광과 X-선 자유전자레이저 / 거의 빛의 속도로 움직이는 전자의 운동방향을 바꿀 때 매우 강력한 X-선이 발생하는 데 이를 방사광(synchrotron radiation)이라고 한다. X-선 자유전자레이저는 X-선 영역에서 레이저 특성을 가지며 천조분의 1초에 이르는 펄스폭을 가진 꿈의 빛을 발생하는 방사광원이다. 방사광 X-선은 기초과학과 응용기술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도가 커서 방사광원은 국가거대과학시설로서 운영되고 있다. 사진은 제 3세대 방사광가속기 PLS-II(원형)과 제 4세대 X-선 자유전자레이저 PAL-XFEL의 전경. (사진제공: 포항가속기연구소) ··· 더보기
  • 첨부파일 2017년 5월 26권 5호 흑린, 그래핀을 넘어설까? / 층상박막 구조를 가진 흑린의 결정구조.(Crystal Structure of few layer black phosphorus) (표지 출처: Advanced Nano Surface Research Lab, Korea Basic Science Institute (2016)) ··· 더보기
  • 첨부파일 2017년 4월 26권 4호 노벨상 50주년 기념 - 한스 베테 특집 / 한스 베테 박사는 태양과 같은 별의 에너지 발생원리를 이론적으로 규명하여 노벨상을 수상하였다. 표지 그림은 태양의 핵융합 과정에서 에너지가 발생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표지 출처: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CNO_Cycle.svg, https://earthobservatory.nasa.gov/IOTD//view.php?id=76998, 표지 설명: 부산대학교 물리학과 이창환 교수) ··· 더보기
  • 첨부파일 2017년 3월 26권 3호 바이오 이미징 / 생체 내부의 광학적 이미지를 얻기 위해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이번 특집에서는 생체 내부의 이미지를 얻을 때 발생되는 많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소개하였다. (표지 출처: 고려대학교 물리학과 최원식 교수 연구실, KAIST 물리학과 박용근 교수 연구실, 광주과학기술원 고등광기술 연구소, 표지 설명: 국민대학교 나노전자물리학과 노희소 교수) ··· 더보기
  • 첨부파일 2017년 1/2월 26권 1/2호 강상관계 물질 연구단 / 강상관계 물질 연구 분야는 응집물리학의 주요 분야로서, 새로운 물질상이나 발현 현상을 발견하고 그 근본 원리를 규명하여 응용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림은 (가장 위 그림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연구단에서 진행하는 중성자 산란, 산화물 이종구조, 주사터널링현미경, 각분해광전자분광학, 펨토초 레이저 시간분해 분광, 그리고 전자구조분석 분야의 실험 그림들이다. 다양한 학자들과 함께 한 장소에서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이를 통해 우리 연구단은 국제학계에서의 가시성을 높이고 학계를 선도하는 그룹으로 발돋움하고자 한다. (표지 제공: 강상관계 물질 연구단) ··· 더보기
  • 2016년 노벨 물리학상은 응집물리계의 위상학적 측면을 이해하는데 선구적인 업적을 이룬 세 명의 영국 출신 물리학자에게 돌아갔다. 노벨상의 역사 속에서 응집 물리학, 특히 이론 분 2016년 12월 25권 12호 2016 노벨물리학상 / 2016년 노벨 물리학상은 응집물리계의 위상학적 측면을 이해하는데 선구적인 업적을 이룬 세 명의 영국 출신 물리학자에게 돌아갔다. 노벨상의 역사 속에서 응집 물리학, 특히 이론 분야에 주어진 수상 내용을 통해 위상수학적 응집 물리학의 의미를 점검해 보고, 고체가 아닌 액체 상에서의 위상학적 측면은 어떻게 발현되는가 논의해 보았다.(표지 설명: 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한정훈 교수) ··· 더보기
  •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APCTP)가 설립 20주년을 맞아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였다. 특히 지역을 대표하는 국제연구소의 가장 대표적인 행사는 20주년 기념 학술행사이다. 아시아태평 2016년 11월 25권 11호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 20주년 /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APCTP)가 설립 20주년을 맞아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였다. 특히 지역을 대표하는 국제연구소의 가장 대표적인 행사는 20주년 기념 학술행사이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여러 학자들이 참석하여 지난 20년을 돌아보며, APCTP의 성공과 발전을 기원하였다.(사진 출처: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 ··· 더보기
  • 생명물리 2016년 10월 25권 10호 생명물리 / 생명현상을 분자 수준에서 관찰하고 이해할 수 있는 실험방법과 이론체계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번 호의 특집은 "생명물리"라는 화두를 다루었다. 위에서 두번째 동그라미에 있는 이미지는 3차원 홀로그래픽 현미경으로 측정한 간세포의 영상이다. 세포를 염색하지 않고 살아있는 상태로 3차원 굴절률 측정이 가능하다.(그림출처: (주) 토모큐브. 디자인: 이슬기) ··· 더보기
  • 첨부파일 2016년 9월 25권 9호 신경과학을 위한 물리학 / 뇌는 1000억 개의 신경세포가 만들어낸 복잡한 네트워크. 어떻게 신경네트워크가 전기신호를 주고받으면서 궁극적으로 ‘정신’이라는 놀라운 기능을 만들어내는지 그 근본원리를 밝히는 작업은 물리학자들의 오랜 숙제다. 본 특집에서 물리학적인 관점에서 뇌의 구조와 기능을 들여다보았다.(표지 설명: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정재승) ··· 더보기
  • 첨부파일 2016년 7/8월 25권 7/8호 Beyond Graphene / 고품질의 MoS2는 화학증기증착법, 용액공정 등을 통해 합성될 수 있으며, 합성된 MoS2는 다양한 기능의 광전자소자에 응용될 수 있다. [그림 출처: 안종현 교수(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 더보기
  • 과학교양도서 2016년 6월 25권 6호 과학교양도서 / 최근 교양과학책의 출판이 질과 양 모두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보이고 있다. 과학을 흥미로서뿐 아니라 현대의 진정한 교양으로 받아들이려는 독자층이 생겨나고, 과학에 대한 책을 쓸 수 있는 역량을 가진 저자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조명하는 뜻에서 이번 호 특집은 교양과학책을 다루었다. 과학책을 쓰는 저자, 과학책을 출판하는 출판인, 그리고 과학의 비전문가이면서도 과학책을 읽고자하는 독자라는 세 입장에서 쓰신 여러 분의 글을 모았다.(표지 설명: 경상대학교 물리교육과 이강영 교수) ··· 더보기
  • 위상물질 2016년 5월 25권 5호 위상물질 / 고체 내 전자의 파동함수는 역격자 공간(reciprocal lattice)에서 밴드구조을 이룬다. 역격자 공간은 위상학적으로 도넛모양을 하고 있어서, 그 위에 정의된 밴드구조는 원칙적으로 다양한 위상특성을 보일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순수 수학적 특성이 실제 관측 가능한 물리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을까? 최근 위상 부도체, 위상 초전도체, 바일 준금속 등에서 이러한 놀라운 효과가 밝혀지면서 위상물질이 큰 관심을 끌고 있다. 그림은 역격자 공간과 밴드구조의 위상학적 특성을 형상화한 것이다.(표지그림 제공: 고려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최만수) ··· 더보기
  • 새물리 학술지 Scopus 등재 - 국제 학술지로서의 새로운 도약 2016년 4월 25권 4호 새물리 학술지 Scopus 등재 국제 학술지로서의 새로운 도약 / 새물리 Scopus 등재를 기념하여 새물리 창간호 표지, 2010년 개선된 새물리 표지 및 최근 새물리 표지를 선정하여 새물리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배경이 되는 세계지도 위에 Scopus의 현재 주요 지표를 표시하여 Scopus의 국제적 위상과 더불어 새물리의 국제적 위상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제공: 새물리 편집진) ··· 더보기
물리대회물리대회
사이언스타임즈사이언스타임즈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