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기고
특별칼럼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JKPS) 2024년도 연차보고서
작성자 : 박지용·남승일·서준호 ㅣ 등록일 : 2025-01-16 ㅣ 조회수 : 18
박지용 교수는 서울대학교 이학박사(2000)로서 미국 코넬대학교 박사후 연구원(2001-2004)을 거쳐 현재 아주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23년부터 2024년까지 한국물리학회 부회장 겸 JKPS 편집위원장을 역임하였다. (jiyong@ajou.ac.kr)
남승일 교수는 부산대학교 물리학과에서 학석사 학위(1992-2001)를 취득하고, 일본 오사카 대학교에서 핵물리학이론으로 박사 학위(2005)를 취득하였다. 쿄토대 유카와이론물리연구소 박사후연구원(2007-2009), 한국고등과학원 박사후연구원(2011-2013)을 거쳐 현재 부경대 물리학과 교수(2013-현재)로 재직 중이다. 한국물리학회 용어심의위원회 부실무이사(28대)를 역임하고, 2023년부터 2024년까지 한국물리학회 JKPS 실무이사로 활동하였고, 현재 중이온가속기이용자협회 이사로 활동 중이다. (sinam@pknu.ac.kr)
서준호 교수는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 이학박사로서 동대학 박사후 연구원과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연구원을 거쳐 현재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23년부터 2024년까지 한국물리학회 JKPS 부실무이사로 활동 중이다. (junhosuh@postech.ac.kr)
들어가며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이하 JKPS)는 1968년 창간 이래 한국물리학회의 대표 학술지로 국내 물리학계의 학술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해 왔다. JKPS는 1992년 과학인용색인(Science Citation Index, SCI)에 등재된 이후 국내 학자들의 연구성과를 세계적으로 전파하는 관문 역할을 하며 국내외 연구자 간의 필수적인 교류를 활성화해왔다. 2011년 8월에는 JKPS의 국제적 가시성을 높이고 학술 논문의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Springer 출판사와 파트너십을 체결하여 매달 25편의 기사를 발행하고 있으며, 2024년 12월 31일 현재 85권의 논문이 출판되었다. 2015년 12월부터 국내 대학 및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온라인 무료 접속을 시행해 현지 회원분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폭넓은 독자층을 확보하고 있다. 2020년 8월부터 온라인 논문 제출, 검토, 편집을 위한 안정적인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해 새로운 웹사이트를 오픈하였으며, 2021년부터는 더 빠르고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Springer의 편집 및 출판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동시에 홈페이지 개편과 게재료 면제 서비스 개편, 편집자 및 심사자 페이지에 세부 논문 평가 기준을 도입하여 논문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2024년은 2023년 제30대 물리학회 집행부의 출범과 함께 진행된 JKPS의 발전계획인 ‘JKPS2024’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해로서, 23년에 완료된 긴급투고 폐지와 더불어 24년 8월 22일을 기해, 논문투고 시스템을 Springer- Nature의 투고시스템인 SNAPP으로 완전 개편하였다. 이와 함께, 물리학회 학술대회 중의 JKPS 홍보활동, 출판논문 리스트의 학회 회원에 대한 배포, 우수한 레뷰 및 특별호 출판 등을 통해, Impact Factor (IF)가 22년 Q4 0.6 대비 23년 Q3 0.8로 상승하여, JKPS의 위상을 높였으며, 2024년 총 투고편수는 630편으로 전년 대비 약 37% 증가하였다. 특히 올해 12월 11일 JKPS 창간호가 국내 학술지 최초로 “국가중요과학기술자료”로 과기부로부터 등록 인증을 받았다. 회원분 모두의 큰 도움과 성원에 힘입은 이러한 결과를 24년 JKPS 통계와 함께 다음에서 자세히 보고한다.
JKPS 통계 및 2024년 현황

그림 1. JKPS 연간 투고수 및 증가 추이.

그림 2. JKPS 월간 투고수.
24년도 JKPS는 23년의 성공적인 편집위 활동(JKPS2024)과 회원분들의 적극적인 협조에 따른 급격한 투고수 증가세에 힘입어, 총 630편의 투고수를 기록하였다(그림 1). 이는 전년인 23년 대비 약 37%의 투고수 증가이며, 이러한 경향이 유지된다면, 25년에는 연 650편 이상의 투고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으리라 보이며, JKPS의 위상(IF 등)을 높이는 데 기여하리라 기대된다. 특히 다음에 설명할 SNAPP 투고 시스템이 런칭한 8월 22일 이후의 증가율이 23년 같은 기간 대비 약 57% 증가하였으며(그림 2), 이는 SNAPP 시스템 도입의 유효성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1. 2024년 봄학술대회 JKPS 홍보 및 설문

그림 3. 24년 봄 학술대회 JKPS 홍보부스.
본 편집위는 2024년 봄 학술대회에서 JKPS 홍보부스(그림 3)를 운영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진행 중이던 JKPS2024의 취지와 목적을 홍보하고, JKPS에 도움이 되는 여러 가지 의견을 청취하기 위한 설문을 진행하였다(그림 4). 본 설문은 JKPS2024의 진행상황에 대한 회원분들의 이해도 및 인식을 조사함과 동시에, 장래 JKPS의 다양한 도전과 변화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으며, 이는 차기 JKPS 편집위의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그림 5).

그림 4. JKPS 설문.

그림 5. JKPS 관련 설문조사 결과.
2. SNAPP 투고시스템 발족

그림 6. SNAPP 투고 및 출판 시스템.
JKPS는 23년부터 시작된 JKPS2024의 중요한 목표의 일환으로 복잡한 JKPS 투고 및 출판 시스템을 하나의 통일된 시스템으로 변경하는 계획을 진행하였으며, 24년 8월 22일을 기하여, Springer-Nature (SN)의 통합 투고-출판 시스템인 SNAPP을 런칭하였다(그림 6). 본 시스템은 다양한 AI 기반의 도움, 다양한 심사위원진, 보다 직관적인 투고방법 등 다양한 면에서 우수하며, 투고와 출판이 별도로 이루어지던 과거의 JKPS 시스템의 문제점을 많은 부분 해결하리라 기대된다. 특히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24년 SNAPP의 출범과 함께, 23년 같은 기간과 비교하여 약 57%의 투고수 증가가 이루어졌으며, 국제 수준에 걸맞은 투고 및 출판 시스템이 성공적으로 작동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다만, 투고 및 출판 과정상의 문제점을 SN와 접촉하여 본사 측에서 해결하는 데 시간 지연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 부분은 개선이 필요하다고 고려된다. 결론적으로 SNAPP의 도입과 함께, 보다 쉽고 효율적인 투고 및 출판 시스템을 회원들께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며, 향후 우수한 논문이 더 빠르게 출판되어, JKPS의 위상을 향상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되리라 기대된다.
3. 2023년 피인용지수(IF)의 상승

그림 7. JKPS 피인용지수의 추이.
23년 상반기 발표된 Clarivate의 JKPS 평가는 23년의 Q4 IF 0.6에서 Q3 IF 0.8로 상승하였다(그림 7). 이는 과거 10년 동안 가장 높은 IF이며, 감소하던 IF의 추세에 상승 모멘텀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IF 증가의 원인으로는 JKPS2024 진행 및 홍보에 따른 회원들의 JKPS에 대한 선입관의 변화, 특히 CAP와 함께 진행한 과거 2년간의 출판 논문 리스트 배포에 따른 인용 증대가 가장 주효했다고 판단된다. 투고수의 급격한 증가, 투고 시스템의 개선(SNAPP)에 동반된 IF의 상승세에 힘입어, 24년의 IF는 0.9 ~ 1 정도를 기대할 수 있으라라 판단된다. JKPS 편집위의 판단으로는 IF 1 이상을 유지할 경우, 저널의 독립적인 생존 및 지속 발전이 가능하리라 판단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승세를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고려된다.
4. JKPS 특별호 유치

그림 8. JKPS 정규호 및 특별호 추이.
JKPS는 24년에 ICABU2023의 프로시딩으로서 총 10편의 특별호를 8월 14일 출판하였다(그림 8). 또한 인용수 확대를 위해 JKPS2024의 일환으로 고려되었던, 연구소 레뷰 논문으로 구성된 특별호로서 중이온가속기연구소(IRIS/IBS) 특별호가 현재(24년 12월) 심사, 편집 및 출판 중이다. 본 특별호는 24년부터 실제 빔 가동에 들어간 중이온가속기연구소의 실험장비, 물리, 기술적 이슈 등에 대한 총 25편의 레뷰 논문으로 구성되며, 이를 통해 본 연구소 장비를 사용하는 실험 및 관련 사용자는 기본적으로 본 레뷰를 인용하리라 고려되며, 향후 지속적인 JKPS의 인용수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5. JKPS 창간호 국가중요과학기술자료 등록 인증

그림 9. 국가중요과학기술자료 과기부 등록 인증 .
24년 JKPS 편집위는 JKPS 창간호를 과기로부터 국립중앙과학관의 국가중요과학기술자료로 신청하였다. JKPS는 1968년 영문으로 된 국내 최초의 물리학 논문지로 창간되었으며, 국내 물리학자들의 부단한 노력으로 1992년 12월 15일 Sci- ence Citation Index (SCI) 게재 승인을 Institute for Scientific Information (ISI)로부터 획득하였으며, 2024년 현재 국내 유일 물리학 제분야 SCI 저널로서 그 위상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창간호는 이러한 위상의 출발점으로서 국내 물리학 분야 선구자들이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완성한 과학 기술적으로 뛰어난 논문 7편이 실려있으며, 핵물리, 응집물리, 입자물리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 결과를 소개하였으며, 이러한 영문학술지의 발간으로 비로소 우리나라 학자들의 업적이 세계에 알려질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었던 것이다. 국립중앙과학관의 서면 및 JKPS 편집위와의 대면 평가를 거쳐, 24년 12월 11일 국내 학술지 최초로 국가중요과학기술자료로 과기부로부터 등록 인증을 받게 되었다(그림 9). 이로써 한국물리학계의 선구자들과 후배 연구자들의 각고의 노력이 국가적 자료로서 인정받았으며, 이는 모든 회원분들의 큰 도움과 물심양면의 지원의 결과라고 하겠다. 창간호의 보존에 대한 논의 역시 국립중앙과학관과 진행되고 있다.
JKPS2024를 마치며
많은 회원분들의 걱정과 우려 속에 출범한 제30대 JKPS 편집위는, 회원분들의 수많은 조언과 물심양면의 큰 도움으로, JKPS의 발전계획인 JKPS2024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었다. 아직도 부족하고 생각만으로 머문 많은 목표와 포부가 있었으나, 시간적, 물리적 한계로 완전히 달성하지 못하였음에 죄송함을 느낀다. JKPS2024를 진행하면서 우리 편집위가 느낀 점은 아직도 JKPS는 회원분들의 사랑과 관심을 통해 더욱 성장할 수 있다는 모멘텀과 가능성을 확인한 것이었다. 이 모멘텀과 가능성을 보다 확대하고 발전시켜, 국내를 넘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우수한 저널이 되기를 기원하며, 보고서를 마친다. 2년간의 도전적이지만 불확실했던 수많은 계획과 제안을 언제나 흔쾌히 믿고 지원해주신 홍석륜 회장님, 조윌렴 실무이사장님, 이윤상 총무이사님, 김근영 재무이사님, 그리고 모든 제30대 실무이사님들께 감사드리며, 이분들이야말로 JKPS2024의 성공적 마무리의 진정한 설계자, 공헌자라고 생각한다. 특히 과중한 업무 요청을 언제나 빠르고 확실하게 처리해주시고 즐겁게 함께 일해 주신 물리학회 김윤옥 과장님께 큰 감사를 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