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난호





|

PHYSICS PLAZA

물리학회 소식

등록일 : 2025-09-12 ㅣ 조회수 : 64

  • 2025년 8월 집행부 하계 워크숍 소식

  • 제31대 집행부 하계 워크숍이 2025년 8월 28일(목)~8월 29일(금), 제주 씨에스 호텔 & 리조트에서 개최되었다. 1박 2일로 개최된 이번 워크숍에는 회장, 실무이사장, 총무이사, 재무이사, 위원회 위원장, 실무이사 및 부실무이사 총 43명(현장 41명, 온라인 2명)이 참석하였으며, 각 위원회별 사업 성과 및 추진 현황 보고, 2025년 하반기 및 장기 계획을 공유하였다.

    집행부 하계 워크숍 첫날 1부에서는 총무이사, 물리교육행사 및 홍보 관련 위원회의 사업 발표가 있었다. 우선 총무이사는 한국연구재단에 RB 추천, 자연과학단장 추천과 함께 2025년 과총 학술활동지원금 선정 결과를 공유하였다. 6월~8월에 개최된 부산울산경남지부, 강원지부, 대전충남세종지부, 제주특별지부, 전북지부 학회 개최 및 집행부 참석 보고와 함께 송현규 회원의 ‘계원 새물리상’ 기금 추가를 위한 기부 소식도 전하였다. 총무이사 논의 안건으로 학회로고의 응용디자인, 한국-대만물리학회 MOU 체결 등에 대한 안건을 제시하고 위원장, (부)실무이사들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대만물리학회와의 협약은 국제교류위원회에서 심층 검토 후 9월 실무이사회에서 다시 논의하기로 하였다.

    물리교육행사 관련 사업 발표에서 한국물리교육진흥원 실무이사는 2025년 물리페스티벌이 7월 28일~30일 KAIST에서 명사강연, 천체관측, 실험실 투어, 포스터 발표, 퀴즈쇼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성공적으로 개최되었으며, 2026년 개최 후보장소로 GIST를 고려 중이라고 보고하였다. 물리올림피아드 위원회에서는 2025년 아시아물리올림피아드(APhO 2025, 사우디아라비아 다란)와 국제물리올림피아드(IPhO 2025, 프랑스 파리)에 한국 대표단이 참가하여 전원 메달을 획득하였으며, 이혁준(서울과학고 3학년) 학생이 두 대회 모두 종합 1위를 달성하는 성과를 거두었다고 보고하였다. 물리올림피아드 드림팀 특별위원회에서는 드림팀 참가 학생 모집, 1차~3차 오프라인 교육, 통신교육 진행 현황을 공유하였다. 특히 3차 오프라인 교육으로 7월 31일~8월 1일 KAIST에서 1박 2일로 개최된 ‘드림팀 캠프’에서는 물리올림피아드 대비 실험실습과 문제풀이, 천체 강연 및 관측이 진행되었으며, 하반기 교육 계획도 소개하였다. APhO 2026 조직위원회에서는 조직위원회 구성 현황을 공유하고, 로고 제작, 대한민국 과학축제 홍보 활동, APhO 2025 대회 참관 및 차기 개최국 발표와 함께 대행사를 입찰공모 후 선정하여 계약을 준비 중임을 보고하였다.

    홍보사업 관련 사업 발표에서는 물리대중화위원회, 홍보잡지 편집위원회, 전산특별위원회, IYQ특별위원회 발표가 있었다. 물리대중화위원회에서는 봄학술대회 언론 홍보, 모교를 찾아온 물리학자 운영, 공식 인스타그램 런칭, 과학동아에 ‘양자역학 도장깨기’ 연재 등의 사업을 수행하였음을 보고하고, 2025년 하반기 활동으로 물리학회 공식 마스코트 공모, 가을학술대회 부스운영 등의 계획을 공유하였다. 홍보잡지 편집위원회에서는 2025년 7/8월호까지 출판된 ‘물리학과 첨단기술’의 과학의 창, 특집을 소개하였으며, 하반기 출판 계획을 공유하였다. 전산특별위원회에서는 학회 메인 프론트 홈페이지 개편안을 공유하고 홈페이지 명예의 전당 및 기부 회원 소개 등도 추진 중이라고 보고하였다. IYQ특별위원회에서는 2025년 ‘세계 양자과학기술의 해’ 기념 사업으로 2월 5일(수) IYQ 한국선포식을 개최하고, IYQ 한국홈페이지를 개설하였으며, 10월 22일(수) 가을학술대회 위성 세션으로 APEC Summit 겸 IYQ 기념으로 APEC QST(Quantum Science and Technology) Forum을 개최할 예정이라고 보고하였다.

    2부에서는 정책, 학술 및 국제교류, 포상 관련 위원회의 발표가 이어졌다. 정책위원회에서는 기초연구연합회에 가입하여 활동의 폭을 넓히고, 기초과학 학회협의체 활동에 참여하여 대통령 후보에게 보내는 질의서, 과학기자간담회, 기초연구비 복원을 위한 서명운동 및 국회 성명서 발표, 국회 포럼 개최 등을 수행하였음을 보고하였다. 출연연특별위원회에서는 가을학술대회 특별세션 개최 계획을 소개하고 Open Science에 대한 배경 내용을 회원들에게 안내할 예정임으로 보고하였다. 여성위원회에서는 여성과총 단체지원사업 심화과제를 수주하여 수행 중이며, 봄 여성특별세션 운영, 유관학회와 공동으로 Women Pioneers 2025 워크숍을 개최하고, 8/13일 경희대학교에서 2025년 여고생 물리캠프를 성공적으로 운영하였음을 보고하였다.

    학술위원회에서는 2025년 봄학술대회 개최 결과를 보고하면서 많은 회원이 참가한 가운데 역대 최대의 부스가 운영되었음을 공유하였다. 가을학술대회는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될 예정이며, 학술대회의 다양화와 서비스 향상을 위해 등록비를 인상하였으며, 3개의 기조강연이 운영될 예정이라고 보고하였다. 국제교류위원회에서는 미국물리학회 기간 중 3월 19일 재미한인물리학자협회(AKPA)와 Korean Night 2025 행사를 공동 개최하였으며, 8월 7일 미국 아틀란타에서 개최된 US-Korea Conference (UKC) 기간 중 한인과학기술인협회(KSEA) Joint Science Policy and Diplomacy Forum에 참여하였음을 보고하였다. 포상위원회에서는 2025년 봄 한국물리학회상 포상사업 수행 결과를 보고하고, 대학원생 후보자 추천권자 확대, 총회 시상, ‘새물리 계원상’의 명칭을 ‘계원 새물리상’으로 변경하는 포상 규정 개정을 추진하였다고 보고하였다. 2025년 가을 한국물리학회상 후보자 공모는 마감되었으며, 관련 분과 및 위원회로부터 심사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며, 물리교사 관련 상 분리 여부를 논의 중임을 공유하였다.

    집행부 하계 워크숍 둘째 날에 개최된 제3부에서는 학술지, 재정, 회원, 교육 사업 관련 위원회 발표가 진행되었다. 새물리 편집위원회에서는 인용지수 등 논문지표 상향을 위한 중장기 사업 목표를 세우고 올해 해외 저자 총설논문을 초청하여 최신 연구분야에 대해 소개하고 웹사이트, 편집위원 구성, 과총 학술활동사업, 지부/분과 특별호 등 기초적인 학술지 운영 관리에 힘쓸 예정임을 보고하였다. JKPS 편집위원회에서는 JKPS Aims & Scope를 변경하여 지난 7월 1일부터 적용되고 있으며, 논문 투고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정기호/특별호가 순조로이 발간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연임/신임 편집위원 위촉 계획과 함께 2026년 Springer와의 재계약을 검토할 예정임을 공유하였다. CAP 편집위원회에서는 편집위원회의 노력 결과 특별호/특집호 출판속도가 현저하게 높아졌으며, CAP 장려상과 CAP Elsevier Award 후보자를 추천하였음을 보고하였다. 한편 CAP 영향력지수 오류가 발견되어 이에 대해 Elsevier에 통보한 상태임을 공유하였다. 윤리위원회에서는 연구윤리위반 의심 제보가 접수된 CAP 논문 3편에 대해 조사를 종료하고 최종 판정 결과를 CAP 편집위원회에 전달하였으며, 연구윤리 관련 연구윤리 위반 제보에 대한 절차를 국가연구개발혁신법, 학술진흥법, 교육부훈령에 모두 부합하도록 추진할 예정임을 보고하였다.

    재정위원회에서는 2025년 봄학술대회 전시/광고 수입이 역대 최대 성과를 거두었음을 보고하고, 봄 학술대회 창업연구자 특별세션에 이어 가을에도 관련 주제의 특별세션 개최 계획을 소개하였다. 회원관리위원회에서는 4월 회원 현황, 특별회원에 대한 등급 정리 결과를 공유하였으며, 향후 명예회원, 기관회원, 중복회원 관리 방안에 대한 현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임을 보고하였다. 교육위원회에서는 물리교사 회원 확보 및 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지난 8월 13일 2025년 제1회 물리교사 학술대회를 개최하였으며, 대학 기초물리교육 지원을 위해 기초 수학/물리 교육 공유 사이트를 준비 중이라고 보고하였다. 마지막으로 용어심의위원회에서는 지난 5월에 물리용어 변경 신청 건 8건을 처리하고 이와 함께 네이버물리학 백과 수정 신청 건에 대해서도 정기적으로 위원회에서 논의하고 사안에 따라 관련 분과에 의견을 구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물리용어 및 네이버물리학백과 신규 수정신청 접수 건들은 다시 9월 초에 회의를 통해 정리할 예정이다.

  • 2025년 8월 이사회 소식

  • 한국물리학회 제199회 이사회가 지난 8월 28일(목) 오후 5시 30분에 제주 씨에스호텔 및 온라인으로 개최되었다. 총 23명의 이사와 1명의 감사가 참석한 가운데 제198회 이사회 회의록을 원안대로 접수하고, 세 개의 심의 안건을 의결하였다.

    첫 번째 심의안건으로 ‘제31대 집행부 이사 보선’ 안건이 상정되었다. 권영균 실무이사장이 유천열(DGIST) 이사와 이주한(KBSI) 이사의 사임으로 정관에 의하여 사임 2개월 내 보선을 실시해야 한다고 설명하였으며, 관례에 따라 윤진희 회장이 신임 이사 2명으로 김철민(울산과학기술원) 회원과 황동욱(국가수리과학연구소) 회원을 추천하였다. 참석 이사들의 반대 없이 김철민 회원, 황동욱 회원이 신임 이사로 각각 선출되었으며, 임기는 사임 이사의 잔여 기간으로 주무관청의 승인일로부터 2026년 12월 31일까지이다.

    두 번째 심의안건으로 출연연특별위원회 위원장과 실무이사, 전산특별위원회 부실무이사를 변경하는 ‘집행부 구성 변경’ 안건이 상정되었다. 출연연특별위원회 위원장이었던 이주한(KBSI) 회원이 사임함에 따라 윤진희 회장은 동 위원회 실무이사로 활동하던 황동욱(국가수리과학연구소) 회원을 위원장으로, 전철호(KBSI) 회원을 실무이사로 각각 추천하였다. 또한 전산특별위원회 부실무이사 허무영(IBS) 회원의 사임으로 김진호(한국천문연구원) 회원이 부실무이사로 추천되었다. 참석 이사들이 이에 동의하여 전원 찬성으로 안건이 가결되었다.

    세 번째 심의안건으로 회관건축기금과 ‘계원 새물리상’ 기금을 추가하는 안건이 상정되었다. 권덕희(한국원자력연구원) 회원이 회관건축기금으로 일백만 원을, 송현규(고려대) 회원이 ‘계원 새물리상’ 기금으로 일천만 원을 각각 기부하여 해당 기금을 추가 적립하는 안건으로서 참석 이사들의 전원 찬성으로 기금 적립이 승인되었다.

  • 회원 소식

  • 퇴임 교수

    국/립/군/산/대/학/교

    김상표 교수(첨단과학기술학부-구 물리학과)는 천체물리분과 위원장, 전북지부 지부장, AAPPS Council, AAPPS-DACG 위원장, AP CosPA Org 회장으로 활동하였다. 전국국공립대학교 교수회연합회 상임의장, 대학정책학회 회장과 대학정책연구소 이사를 역임했다. In-Out Formalism에서 감마함수 재규격화를 도입하여 비섭동 유효작용 계산, 입자 쌍생성을 Phase-Integral을 적용하여 계산하는 방법을 공동연구하였다. FRW 우주를 블랙홀로 해석한 공저 JHEP(2005)는 1,000회 이상 최근 매년 100회 이상 인용되고 있다.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군복무 후에 Penn State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2년부터 국립군산대학교에서 고등교육 발전에 기여하였다.

    신임 교수

    고/려/대/학/교

    고동욱 교수는 POSTECH 이학학사(2009 ‒2013), 이학박사(2014‒2019) 학위를 받은 후 동 대학교 이현우 교수 연구실에서 박사후연구원(2019‒2020), 독일 율리히 연구소,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대학교에서 박사후연구원(2020‒2025)으로 연구활동을 하였다. 연구분야는 응집물질물리 이론으로 주요 연구 분야는 물질의 전자구조와 전도 현상, 그리고 오비트로닉스를 포함한다.

    김동하 교수는 한국과학기술원 이학학사(2010‒2014), 이학박사(2014‒2022) 학위를 받은 후 동 대학교 서민교 교수 연구실에서 박사후연구원(2022‒2023),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Shanhui Fan 교수 연구실에서 박사후연구원(2023‒2025)으로 연구활동을 하였다. 연구분야는 시공간 광공학(이론 및 실험)이다.

    아/주/대/학/교

    김충현 물리학과 교수는 서강대학교에서 학사, 서울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코넬대학교 박사후 연구원, 기초과학연구원 강상관계물질연구단의 팀리더, 고등과학원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연구분야는 응집물질물리 이론이다.

    울/산/대/학/교

    최영관 교수는 단국대학교(본교) 학사(2007‒2013), 광주과학기술원 석사(2014 ‒2016), 성균관대학교 박사(2018‒2023) 학위를 받았다. 독일 드레스덴 Max Planck Institute for Chemical Physics of Solids에서 박사후 연구원(2022‒2025)으로 재직하였고, 연구분야는 Diamond nitrogen-vacancy(NV) center를 이용한 양자센싱 및 고체물리실험이다.

    박사학위 취득자

     경/북/대/학/교

    • 이름: 조재영
    • 지도교수: 김홍주
    • 전공 분야: 고에너지물리학실험
    • 학위 논문 제목: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Cerium-Doped La2O3-B2O3 Glass and Radiophotoluminescent Silver-Doped Phosphate Glasses for Radiation Detection

    • 이름: 정동우
    • 지도교수: 김홍주
    • 전공 분야: 고에너지물리학실험
    • 학위 논문 제목: Development and Optimization of KAPAE Phase II Detector for Invisible Positronium Decay Search

     고/려/대/학/교

    • 이름: 최순욱
    • 지도교수: 이동헌
    • 전공 분야: 고체물리학
    • 학위 논문 제목: Application of Quantum Sensing with Nitrogen-Vacancy Center in Diamond: Temperature, Strain Sensing and Interactive Software for Qubit Contol and Measurement

    • 이름: 김택준
    • 지도교수: 주진수
    • 전공 분야: 응집물질물리학
    • 학위 논문 제목: Charge Dynamics and Exciton Characteristics in p-n Heterostructures: Applications to Optoelectronic Devices

    • 이름: 정우승
    • 지도교수: 안정근
    • 전공 분야: 핵물리학
    • 학위 논문 제목: Study of Double-Strangeness Production in the 12C(K, K+) Reaction at 1.8 GeV/c

    • 이름: 김영준
    • 지도교수: 안정근
    • 전공 분야: 핵물리학
    • 학위 논문 제목: Study of the Branching Fraction and Intermediate Resonances in the \(\small \Lambda_c^+ \rightarrow pK_S^0 \pi^0\) Decay

    • 이름: 최원재
    • 지도교수: 박규환
    • 전공 분야: 양자광학
    • 학위 논문 제목: Hybridization and Dynamics of Polaritons in Layered Media

    • 이름: 이수환
    • 지도교수: 홍병식
    • 전공 분야: 핵물리학
    • 학위 논문 제목: Nuclear modification factor of excited states in PbPb collisions at \(\small \sqrt{s_{NN}}\) = 5.02 TeV

    • 이름: 김명진
    • 지도교수: 박규환
    • 전공 분야: 양자광학
    • 학위 논문 제목: Ultra-Compact Broadband Coupler for Optical Interconnects

     부/경/대/학/교

    • 이름: LIU FENGWU
    • 지도교수: 박성흠
    • 전공 분야: 고체물리실험
    • 학위 논문 제목: 고성능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위한 저차원 나노물질 연구

    • 이름: FAN XIANGYANG
    • 지도교수: 박성흠
    • 전공 분야: 고체물리실험
    • 학위 논문 제목: 준이차원 페로브스카이트 발광 다이오드에서 다기능 포스핀 옥사이드 기반 분자의 연구

    • 이름: 전태곤
    • 지도교수: 정성철
    • 전공 분야: 고체물리이론
    • 학위 논문 제목: 전고체 전지용 고체 전해질 내 리튬 이온 확산 메커니즘에 대한 제일원리연구

     충/북/대/학/교

    • 이름: RAHMAN IKHWAN NUR
    • 지도교수: 이현석
    • 전공 분야: 물리학
    • 학위 논문 제목: Comprehensive study on Raman spectroscopy in 2D iron compounds synthesized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 이름: GAO HONGCHEN
    • 지도교수: 김경완
    • 전공 분야: 물리학
    • 학위 논문 제목: Coherent phonon spectroscopy in charge ordered phases of IrTe2

    • 이름: MUSTAGHFIROH QOIMATUL
    • 지도교수: 김동현
    • 전공 분야: 물리학
    • 학위 논문 제목: Temperature- and Strain-Dependent Magnetization Dynamics of Co-Based Films

물리대회물리대회
사이언스타임즈사이언스타임즈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