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난호





지난호 보기

  • e-Science 2005년 10월 14권 10호 e-Science / 표지 그림은 국내외에 위치한 연구자, 연구장비, 연구정보 등을 사이버 공간(Cyber Space)에서 동시에 활용하는 연구활동을 추상화한 것으로, e-Science의 개념을 표현한 것이다. 지구 주위의 대형 컴퓨터들은 대륙별 대표 국가(또는 연구주제)를 표현한 것이며, 그 주위에 작은 컴퓨터들은 국가별 또는 개별 연구주제를 표현한 것이다. 배경의 지구와 다양한 연결선은 국가간/지역간 연구그룹의 협업연구, 실시간 자료전송, 첨단 연구장비 등의 공동활용 등을 통하여 연구가 수행되고 있는 상황을 표현한 것이다. ··· 더보기
  • 차세대 메모리 2005년 9월 14권 9호 차세대 메모리 / 비휘발성 메모리소자가 요구되는 정보기기들 ··· 더보기
  • Flexible Display 2005년 7/8월 14권 7/8호 Flexible Display / 오른쪽 위의 사진은 일본의 Pioneer에서 2003년에 개발한 플라스틱 기판 상의 OLED (PM 형) 사진. 가운데 사진은 삼성 전자에서 2004년에 개발한 플라스틱 TFT-LCD 사진. 왼쪽 아래 사진은 Philips에서 개발한 플라스틱 기판 상의 전자 종이.(본문 2, 16, 17쪽 참조) ··· 더보기
  •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교육의 현실-물리교과를 중심으로 2005년 6월 14권 6호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교육의 현실 - 물리교과를 중심으로 / 사진은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제7차교육과정에 따라 출판된 중고등학교의 과학교과서들이다. 7차교육과정에서는 3학년부터 10학년까지를 ‘국민공통교육과정’으로 지정하여, 모든 학생들이 주당 3~4시간씩 ‘과학’을 학습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사진 제공: 충북대학교 오원근 교수) ··· 더보기
  • 빛의 축제 2005년 5월 14권 5호 빛의 축제 / 미국 프린스톤을 출발하여 지난 4월 19일 저녁 8시 부산 광안리 해변으로 전달된 빛이 독도를 비롯한 39개의 산 정상으로 릴레이 되어 8시 36분에 서울 남산에 도착하였고 서울 부산 포항 전주 등 주요 경유 도시에서 시민들이 참여하는 빛의축제 기념행사가 있었다. ··· 더보기
  • 디스플레이(OLED) 2005년 4월 14권 4호 디스플레이(OLED) / 가운데 왼쪽 사진은 삼성전자에서 개발한 40인치 AMOLED이다. 새로운 결정화 방식에 의한 다결정 실리콘을 이용하여 TFT를 제작하였다. 오른쪽은 PLED 소자 구조이다. (제공: 경희대학교 장진 교수, 삼성전자 정규하 상무) ··· 더보기
  • 포항방사광가속기 10주년 2005년 3월 14권 3호 포항방사광가속기 10주년 / 표지그림의 배경은 포항가속기연구소 전경 사진이다. 아래에 있는 작은 사진들은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선형가속기 1층 전경 (고주파 출력관 및 전력변환장치), 저장링 전경 (선형가속기와 저장링이 만나는 입사지점이 속한 1번 구역), 빔라인으로 가득 찬 실험지역, 선형가속기 지하층에 설치된 2.5GeV 선형가속기 전경 사진이다. ··· 더보기
  • 세계 물리의 해 2005년 1/2월 14권 1/2호 세계 물리의 해 - 아인슈타인 상대성이론 탄생 100주년 기념 / 아래 왼쪽 그림은 국제행사본부가 제정한 물리의 해 logo이다. 로고는 전체적인 모양이 light cone을 상징하며 각각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빨간색은 redshift를 상징하여 현재로부터 멀어져가는 과거를 의미하고, 파란색은 blueshift를 상징하여 다가오고 있는 미래를 의미한다. 노란색과 초록색은 과거와 미래를 연결하고 있어 우리가 위치하고 있는 현재를 의미한다. ··· 더보기
  • 2004 노벨물리학상 2004년 12월 13권 12호 2004 노벨물리학상 / 2004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이론물리학자 Polizer, Wilczek, Gross의 순서대로의 사진이다. 그들의 1973년 업적인 비가환성 게이지 이론에서 효과적 결합상수의 크기가 고에너지로 갈수록 작아진다는 점근자유성 이론과 실험의 결과의 비교가 배경 그림이다. 이들의 연구는 모든 강작용 현상을 쿼크의 글루온의 물리로 설명하는 양자색소이론(QCD)의 확립에 중추적 역할을 했다. ··· 더보기
  • 해양물리학 2004년 11월 13권 11호 해양물리학 / 해양은 자연의 대부분을 차지하면서 다양한 이미지를 갖는다. 낭만과 그리움, 두려움과 공포 그리고 광활함과 깊음 등등... 자연도 위대하지만 자연에 대한 인간의 탐구정신 또한 위대하다. 저 푸르른 조화의 정신을 지키며 끝없는 반복과 열정의 파도처럼 자연에 도전하고 자연을 개척해 가자. (사진은 본문 17, 26, 27 쪽 참조) ··· 더보기
  • 나노메카트로닉스 2004년 10월 13권 10호 나노메카트로닉스 / 배경 그림은 나노프로브를 응용한 근접장 프로브 리소그래피의 원리를 설명하는 그림이다. 가운데 그림은 나노임프린팅 공정으로 제작된 100 nm급 선폭의 패턴 형상이다. (사진제공: 한국기계연구원 장원석, 이재종 박사) ··· 더보기
  • 자동차와 물리학 2004년 9월 13권 9호 자동차와 물리학 / 전 세계적으로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로 주목받고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획기적인 연비와 대기오염 개선을 목적으로 연구개발되고 있다. 사진은 국내에서 시범운행되고 있는 클릭 하이브리드 자동차이다. (사진제공: 현대자동차 이종일 부장, 임철호 과장) ··· 더보기
  • Nanoporous Materials 2004년 7/8월 13권 7/8호 Nanoporous Materials / 나노동공 구조체는 에너지저장, 필터, 신기능 나조재료 합성등 유용한 사용처가 많다. 그림은 알루미나 동공체, 지올라이트 동공체의 구조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사진제공: 성균관대 이영희 교수) ··· 더보기
  • Nanoelectronics 2004년 6월 13권 6호 Nanoelectronics / 바탕 패터닝된 그림은 나노스케일 단전자소자를 이용한 양자로직 게이트소자의 핵심부분(충북대 최중범교수 Lab)이고 육각형 그림은 탄소나노튜브의 카리랄성에 대한 이미지(삼성종기원 박완준박사 Lab)이다 ··· 더보기
  • Photonic Crystal 2004년 5월 13권 5호 Photonics Crystal / 몰포나비 날개의 푸른 색은 색소에 의한 것이 아니고, 광결정 미세구조에 의한 빛의 선택적 반사에 의해서 결정된다. 희미한 배경 그림은 2차원 광결정 레이저 구조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 더보기
  • 물리학은 정말로 어려운가? 2004년 4월 13권 4호 물리학은 정말로 어려운가? / 느낌표와 감동표는 물리학을 공부하는 핵심을 함축적으로 나타낸다. 의문이 있고, 이 의문을 해결한 후에 얻는 감동. 이것이 물리학의 매력일 것이다. 물리교육은 학생들에게 의문을 갖게 하고 이 의문을 해결함으로써 감동을 맛보게 해야 하고 이렇게 한다면 물리학은 쉽고, 재미있는 과목이 될 것이다. ··· 더보기
  • CT: 과학·문화의 융합 2004년 3월 13권 3호 CT 과학·문화의 융합 / 물리학은 우리의 문화생활 곳곳에 스며 있다. 영상매체 속에 물리학이 살아 있고 로봇공학 속에도 물리학이 숨어있다. 우리의 문화 곳곳에 숨어있는 물리학을 찾아 여행을 떠나자. ··· 더보기
  • 아인슈타인 물리학 세계의 재조명 2004년 1/2월 13권 1/2호 아인슈타인 물리학 세계의 재조명 / 아인슈타인은 아마도 가장 사진이 많이 남아있는 물리학자 일 것이다. 이는 그가 그만큼 대중들에게까지 널리 알려진 20세기 물리학계의 ‘슈퍼스타’임을 대변해 준다. 자연의 궁극적인 법칙, 즉 ‘신의 생각’을 추구했던 그는 상대성이론, 광전효과 등 경이로운 업적을 남겼으며, 일반상대론과 양자역학을 아우르는 새로운 이론의 탄생을 21세기 물리학도들에게 숙제로 내주었다. ··· 더보기
  • 원자력의 이용과 안전 2003년 12월 12권 12호 원자력의 이용과 안전 / 영국 내륙에 위치한 원자력발전소의 냉각탑으로 주변지역의 환경문제를 피하기 위하여 100미터보다 높게 새운다. 원자로 운전 중에는 냉각수를 살포하며 열을 제거하면서 깨끗한 수증기를 방출한다. 모르는 대중은 방사성물질 방출로 잘못 이해하기도 한다. 유럽의 경우 목장이나 과수원 등이 존재하며 관광명소로도 많이 찾는다. (사진출처: www.freefoto.com) ··· 더보기
  • 2003 노벨물리학상 2003년 11월 12권 11호 2003 노벨물리학상 / 위쪽 사진은 왼쪽부터 올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Abrikosov, Ginzburg, Leggett이고, 아래쪽 사진은 초전도 현상의 특징 중 하나인 반자성(diamagnetism)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아래 사진 중 밑에 있는 판은 강자성체(ferromagnet)이고 위쪽 판은 액체 질소에 의해 냉각되어 초전도 상태가 된 초전도체이다. 강자성체(ferromagnet)인 자석이 상자성체(paramagnet)를 잡아다니듯이 반자성체는 강자성체를 밀어낸다. ··· 더보기
물리대회물리대회
사이언스타임즈사이언스타임즈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