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난호





지난호 보기

  • 바탕사진: 한국원자력연구소 연구용원자로 하나로의 내부전경. 사진의 제일 밑에는 단결정회절장치와 고분해능분말회절장치가 있고, 두 장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오른쪽에 있는 것이 소각산 2002년 1/2월 11권 1/2호 하나로와 중성자 산란 / 바탕사진: 한국원자력연구소 연구용원자로 하나로의 내부전경. 사진의 제일 밑에는 단결정회절장치와 고분해능분말회절장치가 있고, 두 장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오른쪽에 있는 것이 소각산란장치이다. 오른쪽 아래: 마이오글로빈의 α-Helix에서 발견되는 두 갈래 수소결합의 전형적인 형태로 중성자를 이용한 단백질단결정 회절실험에서 얻은 결과이다. 왼쪽: 스핀 Peierls 상전이를 하는 스피넬 물질인 ZnCr2O4의 비탄성중성자 산란실험결과와 중성자회절 실험에서 얻은 자기피크와 격자변형의 온도의존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들 결과 모두 Tc=12.5 K의 상전이 온도에서 급격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그림제공: 한국원자력연구소 중성자물리실, 일본원자력연구소 N. Niimura 박사, 미국 NIST 이승헌박사) ··· 더보기
  • 중앙에 있는 작은 사진에 서 있는 사람이 콜로라도 주립대학의 Carl Wieman 교수이고, 앉아서 웃고 있는 사람이 Eric Cornell 박사이다. 그 옆의 그림이 루비디움 원 2001년 12월 10권 12호 2001 노벨물리학상 / 중앙에 있는 작은 사진에 서 있는 사람이 콜로라도 주립대학의 Carl Wieman 교수이고, 앉아서 웃고 있는 사람이 Eric Cornell 박사이다. 그 옆의 그림이 루비디움 원자를 대상으로 최초의 보즈-아인슈타인 응집이 이루어졌음을 보여주는 실험 데이터를 색채화한 것이다. 왼쪽 아래 사진에서는 Carl Wieman과 Eric Cornell이 최초의 보즈-아인슈타인 응집을 이룬 실험장치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배경은 MIT의 Wolfgang Ketterle 교수가 노벨상을 수상하는 장면이다. (표지제공: 콜로라도 주립대학 Wieman 교수, 노벨재단 홈페이지) ··· 더보기
  • 첨부파일 2001년 11월 10권 11호 끈이론 / 좌측상단: 양성자속에 3개의 기본 입자인 쿼크가 들어 있고, 이를 더 자세히 보면, 닫힌 끈과 D-브레인에 붙어 있는 열린 끈들의 진동으로 보인다. 우측: 끈으로 본 시-공간은 부드럽지 못하고, 생성 소멸이 있고 위상이 바뀌는 양자 기하학으로 기술된다. 좌측하단: 모든 것의 이론을 향해 가는 과정에서 있는 중요한 봉우리들 - 양면성, 초대칭성, 등각장론(CFT) 등 - 이 보이고, 아직도 궁극적 봉우리는 구름에 쌓여 분명히 보이지 않는다. 가는 길에 아직도 빙벽이 가로막고 있다. (그림제공: Amsterdam대학교 Robbert Dijkgraaf 교수) ··· 더보기
  • 첨부파일 2001년 10월 10권 10호 우주과학 / 달 및 행성의 탐사는 우주 기술과 학문적 의미가 집약된 우주 과학의 꽃이다. 최근 해외에서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 화성 탐사는 우주 개발의 전진 기지를 확보하기 위한 의미가 크다. 왼쪽 위: 2003년에 발사 예정으로 한국과학기술원에서 개발중인 과학위성 1호는 90­180 nm의 파장 영역에서 은하와 오로라의 분광 영상 관측을 수행할 예정으로 있다. 특히 파장 분해능 0.1 ­0.2 nm와 공간 분해능 약 1 km의 고 분산 오로라 영상은 과학위성 1호에 함께 탑재될 플라즈마 검출기와 함께 전자 가속 등 우주공간에서의 물리 현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왼쪽 가운데: 태양에서의 플레어 현상은 코로나 물질 분출과 함께 우주 환경을 변화시키는 근본적인 원인이 된다. 플레어 발생 시 방출되는 극자외선 및 X-선은 지구 이온층을 교란시키고, 가속된 플라즈마는 수 일 내에 지구 자기권에 도달하여 자기 폭풍을 일으키곤 한다. 이러한 플라즈마의 흐름을 미리 관측할 수 있다면 우주 공간의 환경을 미리 예보하는 것도 가능하다. 오른쪽 아래 그림은 인공위성이 태양과 지구 사이에서 태양풍을 감시하고 있는 상황을 그린 모식도이다. (배경은 달을 근접 촬영한 것이다.) (사진제공: 한국과학기술원 민경욱 교수) ··· 더보기
  • 첨부파일 2001년 9월 10권 9호 학생들이 원하는 물리 / 학생들은 중학교에서 과학, 고등학교에서 공통과학과 물리II, 대학에서 일반물리학이라는 이름으로 이미 짜여진 과정의 물리학을 배우면서, 어떤 학생은 물리를 재미있어하고 어떤 학생은 어렵고 재미 없다고 생각하게 된다. 학생들이 배우고 싶어하는 물리학의 모습은 과연 어떤 것일까? (사진제공: 충북대학교 정진수 교수) ··· 더보기
  • 첨부파일 2001년 7/8월 10권 7/8호 스포츠와 물리학 / 스포츠에 적용되는 물리학의 예: 상단으로부터, 회전을 이용한 유도에서의 허리치기, 에너지 보존에 의한 장대 높이뛰기, 저항의 유효단면적을 줄이는 스키선수의 동작 (사진출처: “Fundamentals of Physics”, John Wiley & Sons, Inc.). ··· 더보기
  • 첨부파일 2001년 6월 10권 6호 핸드폰 / 다양한 기능 및 용도의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들. 영상통신을 위한 카메라 부착은 기본, 인터넷 접속은 물론이고 Mobile TV, Video on Demand, Interactive Game, Electronic 신문, Electronic 서적 등의 첨단 기능들을 가지게 되리라 예상된다. (사진제공: 서강대학교 홍대형 교수) ··· 더보기
  • 첨부파일 2001년 5월 10권 5호 양자전산 및 정보 / 오른쪽 아래 표지그림의 배경은 NMR 양자컴퓨터의 실험데이터로 위부분은 양자 원격전송 (Quantum Teleportation), 중간부분은 양자 회로 (Quantum Circuit), 아래 왼쪽은 Ion Trap 양자컴퓨터, 아래 오른쪽은 양자암호기술 (BB84)을 나타낸다. (그림제공: 한국과학기술원 이순칠 교수, 김재완 교수) ··· 더보기
  • 첨부파일 2001년 4월 10권 4호 천체 물리학 / 상단의 위성은 1999년 NASA에서 발사된 X-선 관측위성 찬드라의 모습으로 X-선 천체물리학의 새로운 장을 열고 있다. 왼쪽 하단은 블랙홀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감마선 폭발 천체의 분포도로 이 천체들이 우주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우리 은하가 아닌 우주적인 거리에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배경에는 중력 렌즈 효과에 의해 일그러진 은하들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출처: 미국 NASA) ··· 더보기
  • 첨부파일 2001년 3월 10권 3호 생명정보와 물리학 / 최근 인간의 유전자구조가 완전하게 밝혀지며 포스트게놈시대에서 향후 생명정보학의 방향이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되고 있다. 표지그림은 유전자의 이중나선구조를 바탕으로 향후 학문의 흐름 방향을 형상화하였다. (그림제공: 포항공과대학교 김승환 교수) ··· 더보기
  • 첨부파일 2001년 1/2월 10권 1/2호 현대물리학과 과학사상 / 좌상단의 사진들은 막스 플랑크, 파울리, 디락, 보어 등 현대물리학의 선구자들이며 우하단의 사진은 아인스타인의 대담사진이다. 배경에 한국불교문화의 진수를 보여주는 성덕대왕신종의 비천상 패턴과 포스트모던과학의 한 흐름을 이루는 카오스의 끌개가 서로 어우러져 있다. (사진제공: 서울시립대학교 이중원 교수) ··· 더보기
  • 첨부파일 2000년 12월 9권 12호 2000 노벨물리학상 / 크뢰머가 제안한 이종구조 트랜지스터는 저잡음-고주파 증폭기로 발전하여 오늘날 이동통신 및 위성통신에서 신호대 잡음비 개선에 기여하였고, 알페로프와 크뢰머가 각각 제안한 반도체 레이저다이오드는 광통신, CD 플레이어 및 바코드 판독기 등에 쓰이고 있다. 한편, 킬비가 제안한 한 개의 반도체 블록에 트랜지스터, 캐패시터 및 저항의 집적화기술은 오늘날의 초고집적소자 제조기술로 발전되어 기능의 복합화 및 기기의 소형화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림은 스웨덴 한림원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올려진 것으로서, 2000년 노벨물리학상의 수상업적을 쉽게 이해시키기 위해 도식화한 것이다.) ··· 더보기
  • 첨부파일 2000년 11월 9권 11호 예술세계에서의 물리학 / Segment maxima 방법을 이용하여 색역의 경계를 계산하는 것으로 3차원적 색역(color gamut)을 보여주고 있다. (사진제공: Jan Morovic 박사, 영국 Derby 대학교. 출처: Morovic J. and Luo M. R. (2000) Calculating Medium and Image Gamut Boundaries for Gamut Mapping, Color Research and Application, 25:394-401) ··· 더보기
  • 첨부파일 2000년 10월 9권 10호 현장의 물리교육 / 시간에 따라 나프탈렌이 승화(sublimation)하는 모양; 프리즘에 물체의 상이 반사되는 모양; 두 매질의 경계면에서 입사각에 따라서 빛이 반사 또는 전반사되는 현상; 파동의 중첩에 의하여 일어나는 간섭현상; 질량체가 빗면에서 미끄러져 내려오는 실험장치. (그림설명: 왼쪽 맨 위의 그림부터 반시계방향으로. 그림제공: 교학사의 사진실장 김병주) ··· 더보기
  • 첨부파일 2000년 9월 9권 9호 폴리머와 물리학 / 위의 그림은 격자형 실리콘 mold로 PMMA박막을 imprint한 AFM 상이며, 아래의 그림은 실리콘 imprint mold로 PMMA 박막을 각인했을 때 (왼쪽), 200 nm 크기의 PS ball들을 각각의 점 위에 부착시킨 상(오른쪽)이다. (그림 제공: 경북대학교 고분자공학과 김경만 교수) ··· 더보기
  • 첨부파일 2000년 7/8월 9권 7/8호 중시구조의 물리학 / 윗 그림은 정상금속/초전도 계면을 포함하는 중시 구조 안드레브 간섭계의 한 종류이다. 제어전류 Ictrl을 흘려 두 초전도극 S1과 S2에 위상차가 발생하게 한다. 산란점 a에서 갈라진 전자 부분파는 두 계면에서 초전도 질서맺음변수의 위상을 얻으며 정공으로 되반사되어 산란점 b에 다시 모일 때 위상차이 θ1-θ2에 따라 간섭을 일으키게 되며, 그 결과 아래 그림에 보인 것 같이 제어전류에 따른 정상금속 도선 저항의 주기적인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그림제공: 포항공과대학교 이후종 교수) ··· 더보기
  • 베를린 대학 학장 시절의 막스 플랑크
(사진제공: Ullstein(위), Mechthild Seidel(아래))
사진이다. 배경은 Annalen der Physik 4 (190 2000년 6월 9권 6호 양자론 탄생 100주년 기념 / 베를린 대학 학장 시절의 막스 플랑크 (사진제공: Ullstein(위), Mechthild Seidel(아래)) 사진이다. 배경은 Annalen der Physik 4 (1901), p. 561(Verlag von Johann Ambrosius Barth)의 논문을 보여준다. ··· 더보기
  • 첨부파일 2000년 5월 9권 5호 물리학과의 위기 / 위 그림은 물리홈페이지 경연대회 Physics Web 2000의 수상작들이다.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최철 http://phys.knue.ac.kr/~physics 한국교원대학교 물리교육과 (대상) 이기봉 http://phys.kyungwon.ac.kr 경원대학교 물리학과 (우수상) 정유영 http://phyux1.kyungsung.ac.kr 경성대학교 물리학과 (장려상) 심경무 http://physics.cnu.ac.kr 충남대학교 물리학과 (장려상) ··· 더보기
  • 첨부파일 2000년 4월 9권 4호 Geophysics / 위 그림은 해양지구물리탐사의 다양한 장비와 방법을 나타낸다. 해양에서의 지구물리탐사를 위해서는 그 목적에 따라 사용 장비와 방법이 다름을 알 수 있다. (사진 제공: 한국자원연구소 한현철 박사) 아래는 지구해양지각의 연령을 나타내는 분포도이다. 빨간색 부분이 가장 젊은 지각층이며, 파란색으로 갈수록 오래된 지각층임을 나타낸다. (사진 제공: 한양대 이과대학 석동우 교수, 원본: [교재명: “The Ocean Basins : their structure and evolution”, 출판사명 : Open University]) ··· 더보기
  • 첨부파일 2000년 3월 9권 3호 경제학과 물리학 / 위는 주식거래소의 풍경. 국내의 경우 Korea Stock Exchange (KSE)와 KOSDAQ 시장이 있다. 아래는 KSE의 KOSPI 지수, 10일/25일 평균, 변동성, 거래물량의 일일변화 (출처: kospi.com) (사진 제공: 포항공대 물리학과 김승환 교수) ··· 더보기
물리대회물리대회
사이언스타임즈사이언스타임즈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