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1/2월 10권 1/2호 현대물리학과 과학사상 / 좌상단의 사진들은 막스 플랑크, 파울리, 디락, 보어 등 현대물리학의 선구자들이며 우하단의 사진은 아인스타인의 대담사진이다. 배경에 한국불교문화의 진수를 보여주는 성덕대왕신종의 비천상 패턴과 포스트모던과학의 한 흐름을 이루는 카오스의 끌개가 서로 어우러져 있다. (사진제공: 서울시립대학교 이중원 교수)··· 더보기
2000년 12월 9권 12호 2000 노벨물리학상 / 크뢰머가 제안한 이종구조 트랜지스터는 저잡음-고주파 증폭기로 발전하여 오늘날 이동통신 및 위성통신에서 신호대 잡음비 개선에 기여하였고, 알페로프와 크뢰머가 각각 제안한 반도체 레이저다이오드는 광통신, CD 플레이어 및 바코드 판독기 등에 쓰이고 있다. 한편, 킬비가 제안한 한 개의 반도체 블록에 트랜지스터, 캐패시터 및 저항의 집적화기술은 오늘날의 초고집적소자 제조기술로 발전되어 기능의 복합화 및 기기의 소형화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림은 스웨덴 한림원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올려진 것으로서, 2000년 노벨물리학상의 수상업적을 쉽게 이해시키기 위해 도식화한 것이다.)··· 더보기
2000년 11월 9권 11호 예술세계에서의 물리학 / Segment maxima 방법을 이용하여 색역의 경계를 계산하는 것으로 3차원적 색역(color gamut)을 보여주고 있다.
(사진제공: Jan Morovic 박사, 영국 Derby 대학교. 출처: Morovic J. and Luo M. R. (2000) Calculating Medium and Image Gamut Boundaries for Gamut Mapping, Color Research and Application, 25:394-401)··· 더보기
2000년 10월 9권 10호 현장의 물리교육 / 시간에 따라 나프탈렌이 승화(sublimation)하는 모양; 프리즘에 물체의 상이 반사되는 모양; 두 매질의 경계면에서 입사각에 따라서 빛이 반사 또는 전반사되는 현상; 파동의 중첩에 의하여 일어나는 간섭현상; 질량체가 빗면에서 미끄러져
내려오는 실험장치. (그림설명: 왼쪽 맨 위의 그림부터 반시계방향으로.
그림제공: 교학사의 사진실장 김병주)··· 더보기
2000년 9월 9권 9호 폴리머와 물리학 / 위의 그림은 격자형 실리콘 mold로 PMMA박막을 imprint한 AFM 상이며, 아래의 그림은 실리콘 imprint mold로 PMMA 박막을 각인했을 때 (왼쪽), 200 nm 크기의 PS ball들을 각각의 점 위에 부착시킨 상(오른쪽)이다.
(그림 제공: 경북대학교 고분자공학과 김경만 교수)··· 더보기
2000년 7/8월 9권 7/8호 중시구조의 물리학 / 윗 그림은 정상금속/초전도 계면을 포함하는 중시 구조 안드레브 간섭계의 한 종류이다. 제어전류 Ictrl을 흘려 두 초전도극 S1과 S2에 위상차가 발생하게 한다. 산란점 a에서 갈라진 전자 부분파는 두 계면에서 초전도 질서맺음변수의 위상을 얻으며 정공으로 되반사되어 산란점 b에 다시 모일 때 위상차이 θ1-θ2에 따라 간섭을 일으키게 되며, 그 결과 아래 그림에 보인 것 같이 제어전류에 따른 정상금속 도선 저항의 주기적인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그림제공: 포항공과대학교 이후종 교수)··· 더보기
2000년 6월 9권 6호 양자론 탄생 100주년 기념 / 베를린 대학 학장 시절의 막스 플랑크
(사진제공: Ullstein(위), Mechthild Seidel(아래))
사진이다. 배경은 Annalen der Physik 4 (1901), p. 561(Verlag von Johann Ambrosius Barth)의 논문을 보여준다.··· 더보기
2000년 5월 9권 5호 물리학과의 위기 / 위 그림은 물리홈페이지 경연대회 Physics Web 2000의 수상작들이다.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최철 http://phys.knue.ac.kr/~physics 한국교원대학교 물리교육과 (대상)
이기봉 http://phys.kyungwon.ac.kr 경원대학교 물리학과 (우수상)
정유영 http://phyux1.kyungsung.ac.kr 경성대학교 물리학과 (장려상)
심경무 http://physics.cnu.ac.kr 충남대학교 물리학과 (장려상)··· 더보기
2000년 4월 9권 4호 Geophysics / 위 그림은 해양지구물리탐사의 다양한 장비와 방법을 나타낸다. 해양에서의 지구물리탐사를 위해서는 그 목적에 따라 사용 장비와 방법이 다름을 알 수 있다.
(사진 제공: 한국자원연구소 한현철 박사)
아래는 지구해양지각의 연령을 나타내는 분포도이다. 빨간색 부분이 가장 젊은 지각층이며, 파란색으로 갈수록 오래된 지각층임을 나타낸다.
(사진 제공: 한양대 이과대학 석동우 교수,
원본: [교재명: “The Ocean Basins : their structure and evolution”, 출판사명 : Open University])··· 더보기
2000년 3월 9권 3호 경제학과 물리학 / 위는 주식거래소의 풍경. 국내의 경우 Korea Stock Exchange (KSE)와 KOSDAQ 시장이 있다.
아래는 KSE의 KOSPI 지수, 10일/25일 평균, 변동성, 거래물량의 일일변화 (출처: kospi.com)
(사진 제공: 포항공대 물리학과 김승환 교수)··· 더보기
2000년 1/2월 9권 1/2호 21세기 물리학의 방향 / 새천년의 물리학이 시작되었다! 21세기 물리학의 무한한 가능성을 기대하며 우리는 이미 되돌릴 수 없는 새로운 시공간속에 던져졌다. 21세기 첫 번째로 발간되는 이번 1/2월호의 표지는 그러한 가능성을 2000년의 시작으로 대치하고자........··· 더보기
1999년 12월 8권 12호 ’99 노벨물리학상 / ’99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벨트만(위)과
토프트(중간).
왼쪽 윗 그림은 토프트의 저서 ‘In search of the Ultimate Building Blocks’에 있는 퍼즐.
토프트는 ‘Nature is a big jig-saw puzzle, and I see it as my task to fit pieces of it together’라 하였다. (참고사이트: http://www.phys.uu.nl/~thooft/)
왼쪽 아래 그림은 입자물리학의 표준모델을 나타내고 있다. (참고사이트: http://www.kva.se)
(그림제공 서울대 물리학과 이수종 교수)··· 더보기
1999년 11월 8권 11호컴퓨터와 물리학 - 교육 / “전산물리의 새로운 가능성”의 필자가 대학물리에서 통계 열물리를 가르치기 위한 보조 교재로 제작한 “주사위만 던져도 막스웰 분포가 보인다.” 이외 몇 가지 애프렛 실행결과의 토막그림. (참고 사이트, http://phys.snu.ac.kr/GenPhy1/thermal/boltz/boltz.htm, 우리말: http://phys.snu.ac.kr/StatPhys/frame-e.htm)
왼쪽 아래 그림은 같은 필자가 제작한 “지구와 화성은 충돌할까요?”(http://phys.snu.ac.kr/javasample/ sol/mainsol.html) 중에서 살별침입 애프랫 실행결과. http://phys.snu.ac.kr/javasample/sol/cometfr.html
침입한 살별이 그리는 타원 자리 길의 일부가 보인다. 살별의 질량과 초기조건을 달리하여 어떤 살별이 어떻게 태양계를 교란하는가를 시늉내볼 수 있다.
(그림제공 서울대 물리학과 이구철 교수)··· 더보기
1999년 10월 8권 10호컴퓨터와 물리학 - 연구 / 중력에 의한 975만개의 입자의 운동에 대한 모의실험.(출처: http://loki-www.lanl.gov/results/).
1930년대 미국 물리학자들이 애용한 Marchant사의 탁상용 계산기. IBM사의 STRETCH 컴퓨터. ENIAC의 프로그램실(1946년). SiO2 내부에 산소의 격자공백이 가질 수 있는 여러 구조를 실공간 다중격자법으로 계산한 결과.(그림순서는 왼쪽 위부터 반시계 방향). 원본뜨기의 결합본뜨기격자계(CML)에서의 시공간 카오스 패턴의 형성.(중앙의 겹친 그림)
(사진제공: 서울대학교 이관수, 서울대학교 유재준 교수, 포항공과대학교 김승환 교수)··· 더보기
1999년 9월 8권 9호북한에서의 물리학 / 공장의 기술 지원을 위해 파견된 과학자 돌격대 그룹(<북한을 움직이는 테크노크레트> 중에서).
이승기 박사와 그의 제자들의 실험 장면 (<어느 과학자의 수기> 중에서)
해방직후 김일성종합대학 학생들의 모습(National archives 소장)
북한 최고의 과학기관인 국가과학원의 모습(<북한을 움직이는 테크노크레트> 중에서)
김일성종합대학의 전경과 재학생들(잡지 복사물).
(그림순서는 위에서 아래로임.)
(사진제공: 전북대학교 김근배 교수)··· 더보기
1999년 7/8월 8권 7/8호의학 속의 물리학 / 왼쪽 위에 있는 세 개의 사진은 SPECT로 얻은 뇌혈류 기능영상을 분석한 후 뇌 구조를 보여주는 고해상도 MRI 영상에 정합하여 보여주는 그림이고, 왼쪽 맨 아래 사진은 MRI이다.
오른쪽 사진들은 감마나이프이다.
(사진제공: 연세대학교 김희중 교수, 서울대학교 송인찬 박사, 서울대학교 병원 정현태 박사)··· 더보기
1999년 6월 8권 6호기상이변 / 왼쪽위 사진은 섬진강 송정 수위관측소의 전경이며, 집중호우가 발생한지 약 4일이 지난 후에도 흙탕물이 흐르고 있다.
왼쪽 아래 사진은 98년 8월 4일 13:00시 현재 2.95 m의 수위를 가리키고 있다.
오른쪽 위 사진은 봉성포천의 배수후의 모습 ('98. 8. 10) ('98. 8. 8일이후의 배수후 모습)이며,
오른쪽 아래 사진은 교량위로 홍수가 지나가 난간 등이 파괴된 모습으로 홍수로 인해 상류에서 쓸려 내려온 나무 등 부유물들이 걸려있다.
(사진제공: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홈페이지 (http://210.114.120.123/wenv/98홍수관련사진모음/홍수관련사진모음.htm)에 있는 사진을 허가를 받아 게재한 것임.)··· 더보기
1999년 5월 8권 5호문화재의 물리학 / 위에 있는 사진은 KIST 최주 박사팀이 민속촌에서 건설한 용광로3기이고
왼쪽 아래 사진은 경주시 안압지에서
출토된 통일신라시대의 숟가락이고
오른쪽 아래 사진은 경주시 녹동리에 남아있는 조선시대 말기의 고로(광석을 숯으로 녹이는 로)이다.
(사진제공: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최 주 박사)··· 더보기
1999년 4월 8권 4호차세대 전지 / 큰 그림은 초소형 소자 또는 기기의 동력원으로 사용하려 하는 micro-battery의 단면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내부의 사진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 제작한 Li-polymer battery의 외관임.
(사진제공: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조원일 박사)··· 더보기
1999년 3월 8권 3호과학과 여성 / 방사능에 대한 연구로 앙트안느 베케렐, 피에르 퀴리와 함께 1903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수상한 여성 물리학자 마리 퀴리(1867-1934)를 보여주고 있다.
(사진제공: http://www.nobel.se/laureates/physics-1903.html)···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