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난호





지난호 보기

  • 10년 후의 물리학 I 2014년 5월 23권 5호 10년 후의 물리학 I / 10년 후 물리학 각 분과의 발전을 표현하기 위하여 영화 ‘스타 워즈’의 주제 화면을 빌려와 우주를 배경으로 과거로부터 이어져 미래로 발전하는 물리학을 표현하였다. ··· 더보기
  • 양자임계성과 고온초전도 2014년 4월 23권 4호 양자임계성과 고온초전도 / 양자임계점에 나타나는 초전도 현상에 대한 개형도. 그림의 수직축은 온도를 나타내고 수평축은 압력, 화학치환 등 온도이외의 물질 제어변수이다. 바닥상태가 반강자성인 물질에 압력을 가하면 자성상태가 완전히 파괴되는 양자임계점이 나타난다. 이 점에서는 전류를 운반하는 운반자의 유효질량이 무한대로 발산하는 임계현상이 나타나며 이와 관련된 임계요동으로 인해 초전도 현상이 유도된다. (표지 출처: 성균관대학교 박두선 교수, 양자물질 초전도 창의연구단) ··· 더보기
  • 스포츠와 물리학: 구기운동 2014년 3월 23권 3호 스포츠와 물리학: 구기운동 / 위는 농구공이 림에 맞고 바운스되어 골인될 때 공에 작용하는 힘과 회전에 의한 효과를 보여준다. 아래는 테니스 라켓에 의해 공에 임팩트가 가해질 때의 모습을 이중진자 모델로 분석한다. ··· 더보기
  • 물리학을 기반으로 하는 생명과학 분야 연구 및 그 동향 2014년 1/2월 23권 1/2호 물리학을 기반으로 하는 생명과학 분야 연구 및 그 동향 / 표지는 단일 다중모드 광섬유를 렌즈로 이용하여 획득한 내시경 이미지이다. (출처 Physical Review Letters 109, 203901 (2012)) ··· 더보기
  • 2013 노벨물리학상 2013년 12월 22권 12호 2013 노벨물리학상 / 표지는 CMS 대형 검출기에 검출된 힉스 입자를 형상화한 디지털 예술이다. (예술가: Xavier Cortada) (표지 출처: Xavier Cortada (with the participation of physicist Pete Markowitz), “In search of the Higgs boson: H->ZZ”, digital art, 2013. Xavier Cortada (with the participation of physicist Pete Markowitz), “In search of the Higgs boson: H->gamma gamma”, digital art, 2013.) ··· 더보기
  • Single Molecule Physics 2013년 11월 22권 11호 Single Molecule Physics / 전기적 이동(electromigration) 현상을 이용하여 금 전극 사이에 나노미터 크기의 갭 구조를 만들어서 그 사이에 단분자(이 경우에서는 benzenedithiol)를 잡아서 단분자 전자소자를 구현한 모식도. 이 전자소자는 소스, 드레인, 게이트전극으로 이루어져있으며, 게이트 전압을 이용하여 분자의 오비털을 제어한 단분자 트랜지스터 소자를 나타낸다. (표지 출처: 서울대학교 이탁희 교수, 분자나노소자 창의연구단) ··· 더보기
  •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 2013년 10월 22권 10호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 / 표지 배경 사진은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이 활용하고 있는 광주과학기술원 고등광기술연구소의 극초단 광양자빔 연구시설로 세계 최고 출력의 펨토초 페타와트 티타늄 사파이어 레이저가 시설 내에 설치되어 있다. 왼쪽 위에 위치한 원 사진은 페타와트 레이저의 펄스 압축기 내부 사진이다. 오른쪽 원 사진은 페타와트 표적챔버 내부 사진과 양성자 에너지 스펙트럼으로 최근에 페타와트 레이저 빔을 이용한 양성자 가속 실험에서 세계 최초로 45 MeV의 양성자 에너지를 얻은 바 있다. (사진 제공: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고등광기술연구소 정태문 박사) ··· 더보기
  • 미세유체역학 2013년 9월 22권 9호 미세유체역학 / 가운데 그림은 원심력 기반의 통합형 유전자 분자 진단 마이크로시스템으로 현장에서 채취한 바이러스 샘플로부터 RNA 추출, 타겟유전자 증폭, 및 유전자 검출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고속 고감도 현장 진단이 가능한 차세대 유전자 분석 시스템이다. 배경그림은 액적기반 미세유체시스템으로 형성한 균일한 더블 이멀젼이다. (그림 제공: 한국과학기술원 서태석 교수, 충남대학교 이창수 교수) ··· 더보기
  • 3D 휴먼팩터 2013년 7/8월 22권 7/8호 3D 휴먼팩터 / 3D Human Factor는 입체 영상을 재생하는 현재의 3차원 디스플레이 기술에서, 광학 기술의 한계로 인해 발생하는 관찰자의 피로 현상을 분석하고 극복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표지 제공: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박민철 박사) ··· 더보기
  • STATPHYS 25 2013년 6월 22권 6호 STATPHYS 25 / IUPAP와 한국물리학회가 공동 주최하는 제25회 국제통계물리학회가 2013년 7월 22일(월)부터 26일(금) 까지 서울대학교 문화관 및 멀티미디어 강의동 (83동)에서 열린다. 7월 21일 오후에는 서울대 미술관에서 리셉션 및 볼츠만 상 수상자의 대중강연이 열린다. 통계물리학의 노벨상이라고 불리는 볼츠만 상의 시상식은 24일 오전 문화관에서 열린다. (http://www.statphys25.org) ··· 더보기
  • 약한 측정과 양자역학의 해석 2013년 5월 22권 5호 약한 측정과 양자역학의 해석 / 왼쪽 그림: 약한 측정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평균 정보의 양과 되돌림률 값은 상호 균형(trade-off) 관계에 있으며 정량화할 수 있다. (특집 “약한 측정과 양자 제어 기술” 참조) 오른쪽 그림: 슈뢰딩거 고양이의 상자를 열어 보는 것은 projection measurement에 해당된다. 결과는 산 고양이 아니면 죽은 고양이이며 이 측정은 비가역적이다. 슈뢰딩거 고양이가 든 상자 근처에 생선을 가까이 가져가는 것은 약한 측정이다, 고양이가 반응을 보이지 않으면 원래의 중첩상태가 유지되며 이 측정은 가역적이다. (특집 “약한 측정과 양자정보” 참조) (표지 사진 제공: 미국 Dartmouth College 이승우 박사, 포스텍 홍강희) ··· 더보기
  • STEAM 교육과 WISET 2013년 4월 22권 4호 STEAM 교육과 WISET / [왼쪽 위] 물방울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도식화와 실제 사진을 보여준다. 진동하는 아래 전극판에 의해 위쪽 전극판과 물방울의 접촉면적이 변하고 있다. [왼쪽 아래] 등가전기회로를 이용해 실제 시스템에서 전류가 발생하는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오른쪽 위] 실생활에 응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생활에 흔히 쓰이는 LED를 연결한 실험 방법을 도식적으로 보여준다. 전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작은 물방울 여러개를 병렬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오른쪽 아래] 진동하는 동안 물방울의 변형에 의해 색깔이 다른 세 개의 LED에 불이 켜지는 실제 사진을 보여준다. 표지와 관련된 내용은 24쪽 원고 참조. (표지 사진 제공: 부산대학교 박혁규 교수, 문종균 박사) ··· 더보기
  • 나노구조물리연구단 2013년 3월 22권 3호 나노구조물리연구단 / 나노복합구조물의 합성 및 물성제어를 통한 새로운 물리현상의 구현과 다중측정. 나노현미경 개발을 기반으로 하는 운반자 동력학, 열 및 광전특성, 나노 생-물리학 연구(표지 출처: 나노구조물리연구단) ··· 더보기
  • 친환경 압전체 2013년 1/2월 22권 1/2호 친환경 압전체 / 다양한 압전 액추에이터[www.pikorea.co.kr]는 아직 친환경 재료를 널리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 압전 나노구조 제조 방법[Adv. Mater. 23, 4007 (2011)] 및 나노 압전체의 크기효과[Nano Lett. 7, 3787 (2007)]와 나노 압전체를 이용한 에너지 수확소자 동작원리[J. Phys. Chem. Lett. 1, 997 (2010)]. ··· 더보기
  • 2012 노벨물리학상 2012년 12월 21권 12호 2012 노벨물리학상 / 제어 및 측정 가능한 단일 원자 및 단일 광자 등의 개별 양자계를 구현하여 머리 속으로만 생각하던 양자역학 세계의 원리들에 대한 깊은 이해를 주었으며, 미래 컴퓨터 혁명을 향한 첫 발걸음을 내딛게 하였다. (사진 출처: 위 그림의 출처는 E. Knill, Nature 463, 441 (2010)이며, 아래 노벨 수상자의 그림의 출처는 http://www.nobelprize.org/이다.) ··· 더보기
  • 힉스입자 2012년 11월 21권 11호 힉스입자 / 유럽핵입자물리연구소의 지하 터널에 설치된 LHC 가속기와 CMS 검출기. LHC를 통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속된 양성자들이 충돌하여 다량의 많은 입자들을 생성한다. 이들 입자들은 그 성격에 따라 트랙 검출기, 전자기 열량계, 하드론 열량계, 그리고 뮤온 검출기 등에 의해 각각 검출된다. 이렇게 재구성된 입자들을 바탕으로 물리학자들은 힉스입자의 붕괴사상을 찾는다. (사진 출처: CERN) ··· 더보기
  • Molecular Dynamics 2012년 10월 21권 10호 Molecular Dynamics / 오른쪽 위의 그래프는 조화 진동자의 위상 궤적으로 바깥 파란색 원은 엄밀한 하밀토니안이고, 안의 빨강색 타원은 속도 Verlet 알고리듬을 적용했을 때의 shadow 하밀토니안이다. 분자동역학 궤적은 이 shadow 하밀토니안상에서의 불연속 궤적을 이루게 된다. 그 아래 그림은 분자동역학에서 일정 온도와 일정 압력의 앙상블을 만들기 위한 개념도이다. (그림 출처: 본문 p.5, p.14) ··· 더보기
  • “물리학과 첨단기술” 창간 20주년 2012년 9월 21권 9호 “물리학과 첨단기술” 창간 20주년 / 지난 20년간 “물리학과 첨단기술”이 걸어온 길을 그 동안 발간된 표지를 통하여 되돌아 보았다. “물첨”의 얼굴과 내용을 채워주신 우리나라 물리학계 구성원 한 분 한 분의 정성과 열정을 독자들과 함께 느끼고자 하며, 앞으로의 얼굴과 내용 또한 독자들과 소통하며 보다 알차게 함께 채워가길 소망하면서 “물첨” 20주년 기념 특집을 준비하였다. ··· 더보기
  • 한국물리학회 선도분야육성 방안 2012년 7/8월 21권 7/8호 한국물리학회 선도분야육성 방안 / 한국물리학회 선도분야육성 방안은 (i) 우주와 물질의 기원에 관한 연구, (ii) 새로운 물리 상태 연구, (iii) 포스트 실리콘 물질 연구, (iv) 미래 에너지 및 의료 분야 응용 연구의 4개 대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재부터 2017년까지의 단기 연구 주제, 현재부터 2022년까지의 중기 연구 주제, 현재부터 2042년까지의 장기 연구주제를 담고 있다. 표지 그림은 주제별 연구 로드맵으로서, 우주와 물질의 기원에 관한 연구 로드맵: 미시세계/거시적 우주 구조의 이론적 탐구와 거시적 우주 구조의 실험적 탐구 로드맵[왼쪽 위], 우주와 물질의 기원에 관한 연구 로드맵: 미시세계의 탐구 및 검출기 실험 로드맵[왼쪽 아래], 새로운 물리 상태 연구 로드맵[가운데 위], 포스트 실리콘 물질 연구 로드맵(반도체 기반)[가운데 가운데], 바이오 의료 분야 응용 연구 로드맵[가운데 아래], 포스트 실리콘 물질 연구 로드맵(반도체 이외)[오른쪽 위], 미래 에너지 분야 응용 연구 로드맵[오른쪽 아래]을 보여준다. ··· 더보기
  • 현대물리학의 역사적 전망 2012년 6월 21권 6호 현대물리학의 역사적 전망 / 현대물리학에서 충돌 과정에 관한 연구는 물질의 구조와 특성을 연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20세기 이래로 물질의 구조와 성질에 대해서 새롭게 연구할 수 있는 다양한 실험 수단이 개발되었다. X-선, 전자, 중입자, 중성자, 양성자 등 다양한 입자들을 이용한 충돌 실험은 실험 물리학의 중심이 되었다. X-선을 쏘거나, 전자를 충돌시키거나, 알파입자를 원자핵에 충돌시켜 원자핵의 구조를 연구하거나 원자 분자의 구조를 해명하는 것은 모두 충돌 과정이라고 분류할 수 있다. 1930년 대 이후에 사이클로트론, 싱크로트론, 충돌형 가속기 등 다양한 형태의 가속 장치가 개발되어 충돌 현상은 거대과학(big science) 분야의 대표적인 연구 주제가 되었다. 유럽 최초의 다국적 과학 프로그램으로 순수 기초 과학에서 많은 업적을 이룬 유럽공동원자핵연구소에서는 오늘도 충돌 과정에 관한 수많은 자료를 만들어내어 자연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사진 출처: 아인슈타인 - http://commons.wiki media.org/(Ferdinand Schmutzer, 1921년작, 처음 출처는 http://www.bhm.ch/), DNA 이중나선구조 - http://www.dreamstime.com/) ··· 더보기
물리대회물리대회
사이언스타임즈사이언스타임즈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