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5월 17권 5호 LHC의 물리학 / 표지는 CMS 검출기에서 힉스 입자가 생성된 후 붕괴되었을 때의 신호를 시늉내기한 그림이다. 바탕에 희미하게 있는 그림은 LHC에서 힉스 입자가 생성되고 붕괴되는 과정의 하나를 그린 것이다. (표지의 그림은 CERN과 interactions.org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배경 그림은 카이스트 물리학과의 허태일 박사과정 학생이 제공하였습니다.)··· 더보기
2008년 4월 17권 4호 연구윤리 / 연구윤리의 문제는 자신의 이론의 정확도를 돋보이게 하기 위해 음파의 속도 등을 조작한 뉴턴의 경우처럼 누가 보아도 논란의 여지없이 확실한 판단이 가능한 것도 있지만 통계적으로 있을법하지 않은 완두콩 실험 결과로 의혹을 사고 있는 멘델이나 기름방울 실험 데이터의 일부를 다른 사람도 납득할 수 있는 수준으로 정확하게 설명하지 못하고 제외시킨 밀리컨의 경우처럼 곰곰히 따져보아야 하는 경우도 많다. 표지 사진은 이런 의미에서 연구윤리에 함축하는 바가 많은 멘델의 완두콩과 밀리컨의 기름방울 실험기기를 보여준다. (자료 제공: 한양대학교 이상욱 교수)··· 더보기
2008년 3월 17권 3호 국가핵융합연구소 / 국가핵융합연구소는 국내 유일의 핵융합 전문연구기관으로서 미래 에너지 강국 실현을 위한 핵융합에너지 개발의 중심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세계 최대 초전도자석 핵융합장치인 KSTAR(맨오른쪽 사진: KSTAR 장치 진공용기 내부)의 운영과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공동개발 프로젝트 참여를 통한 한국형 핵융합 발전소 건설 기술 확보와 핵융합 파생기술의 산업화 촉진을 위한 응용연구(위쪽 사진: 중성입자빔을 활용한 반도체 공정 실험)에 주력하고 있다. (사진 제공: 국가핵융합연구소)··· 더보기
2008년 1/2월 17권 1/2호 첨단과학과 방사광 / 사진은 가속기에서 방사광을 발생하는 저장링과 빔라인 실험시설이 들어있는 저장링 건물이고, 푸른색 레이저는 ‘2005 물리의해’ 빛 전송 행사시 가속기 연구소에서 연출했던 장면이다. 앞의 3차원 도면은 선형가속기에서 전자빔을 저장링으로 보내는 빔 전송선 일부와 저장링 장치의 일부를 보여주고 있다. 푸른색은 2극 자석으로 전체 36개가 있어서 10도씩 전자빔을 꺾어 주고 있고 초록색은 3세대 방사광 가속기의 특징인 삽입장치로 2극자석과 삽입장치에서 방사광을 발생한다. 저장링 왼쪽에 파이프가 내부와 연결된 부분이 있는데 고주파 발생장치와 연결되어 방사광으로 없어진 에너지를 보충받고 있다. (사진 제공: 포항가속기연구소)··· 더보기
2007년 12월 16권 12호 2007 노벨물리학상 / 2007년 노벨 물리학상은 거대자기저항현상(GMR)을 발견한 프랑스의 Albert Fert(좌측)와 독일의 Peter Grunberg(우측)에 수여되었다. GMR의 발견은 컴퓨터에 필수적인 정보저장장치인 HDD(배경)의 헤드에 적용되어 기록밀도의 비약적 증가와 대용량화에 이바지하였다. GMR의 경우처럼 물리적 현상의 발견이 채 10년도 지나지 않아 산업화에 크게 기여한 사례는 흔하지 않다. (출처: 'The Nobel Prize in Physics 2007', The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s (www.kva.se)).··· 더보기
2007년 11월 16권 11호 이휘소 박사 30주기 / 표지는 표준 모형에 관하여 강의하는 이휘소 박사의 생전 모습(1977)이다. (사진 제공: 고려대학교 강주상 교수)··· 더보기
2007년 10월 16권 10호 복잡계 연구와 통계물리학 / 표지는 인간질병네트워크의 일부분으로서 복잡계 연구의 주요 방법론 중 하나인 복잡계 네트워크 이론을 생체계에 적용한 예이다. 둥근 노드는 유전질환을, 네모난 노드는 유전자를 나타낸다. 어느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특정 유전질환의 발현에 연관되면 이 유전자와 유전질환이 링크로 연결된다. 노드의 색깔은 서로 다른 질병의 종류를 나타낸다. 이러한 네트워크를 통해 질병상태의 거시적 연관 관계를 게놈 수준에서 개괄할 수 있다. (그림 제공: 고려대학교 고광일 교수)··· 더보기
2007년 9월 16권 9호 PDP / 표지는 광운대학교 PDP연구센터에서 수행중인 연구 분야와 관련된 그림들이다. (그림 순서: 중앙의 PDP TV를 중심으로 시계방향 순서로 번호를 붙임) ① PDP 셀을 초고속 I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그림, ② 상판과 하판으로 이루어진 PDP 셀의 구조, ③ PDP에서 상판 유전체 보호막으로써 사용되어지는 MgO 보호막(5000 Å) 주사전자현미경 표면 사진, ④ MgO 보호막의 이차전자방출계수 측정 및 에너지 밴드 측정을 위한 g-FIB System 개략도. (그림 제공: 광운대학교 PDP연구센터)··· 더보기
2007년 7/8월 16권 7/8호 한국전기연구원 / 표지는 한국전기연구원에서 수행 중인 연구 관련 그림들이다. 위의 왼쪽 그림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각각 연료감응형 태양전지, 플라즈마 가속기의 레이저 시스템, 개발된 초전도 케이블, 디지털 X-ray 영상 시스템, 테라헤르츠 발생 장치를 보여주고 있다. (그림 제공: 한국전기연구원)··· 더보기
2007년 6월 16권 6호 고등광기술연구소 / 고등광기술연구소는 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 성과를 일구어 내며, 국내 유일의 광전문 연구기관으로서 확실히 자리매김하고 있다. 지난 2006년, 국내 최초로 극초단 레이저를 이용해 양성자 발생(오른쪽 아래 그림)에 성공한데 이어, X선 레이저 발진도 국내에서 처음으로 성공시키며(오른쪽 중간 그림) 광기술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2005년 100 TW 고출력 레이저 시스템을 세계 6번째로 구축하였으며(왼쪽 위 그림), 2008년 Petawatt급 시설을 갖춘 ‘극초단 광양자빔 특수연구시설’이 준공되면(오른쪽 위 그림) 연구소는 명실상부한 세계적인 광전문 연구소로 발돋움할 것이다. (그림 제공: 고등광기술연구소)··· 더보기
2007년 5월 16권 5호 고등과학원 / 함(Source: DESY Hamburg). ②,⑤우주거대구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관측 자료와 여러 우주 모형의 예측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우주모형을 개선하고, 우주거대구조의 기원과 진화를 이해. ④암흑물질이 나선 은하를 중심으로 모여 있는 것을 상상한 그림으로 아래 그물은 물질에 의한 시공간의 변화를 나타냄(Source: Courtesy of SLAC and Nicolle Rager). ⑥통계물리 NEST 그룹 로고(Non-Equilibrium Statmech Theory). ⑦흡수 상전이 시공간 패턴(PCPD). ⑧닫힌 끈의 여러 고유 진동 모드들로 중력자를 비롯한 여러 가지 입자로 이해. ⑨바이올린의 끈의 여러 고유 진동 모드들로 여러 가지의 음계로 들림 (그림 제공: 고등과학원)··· 더보기
2007년 4월 16권 4호 생명과학과 물리학 / 표지는 물리학을 이용한 다양한 생명과학 연구성과물이다. (표지 제공: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박용기 박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이재성 교수, 연세대학교 물리학과 유경화 교수,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홍성철 교수,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at Irvine의 의공학과 교수 Dr. Zhongping Chen)··· 더보기
2007년 3월 16권 3호 정보 보안을 위한 암호학 / 표지는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흐름과 이를 통한 지구촌화를 나타내고 있다. (그림 제공: 고려대학교 홍석희 교수)··· 더보기
2007년 1/2월 16권 1/2호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은 첨단연구장비 공동활용의 국가중심기관으로 세계적 수준의 연구장비와 공동연구시설을 확보하여 최상의 기초과학 연구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생명, 나노, 환경과학 분야에 대한 첨단 전문 연구지원 체제를 구축하고, 초고전압투과전자현미경, 차세대 자기공명장치 등 세계적 수준의 연구장비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앞으로 자주적 연구기반 환경 구축을 위해 세계적 연구장비개발을 개발하고 국가 연구장비 정책기관으로의 역할을 수립해 나갈 것이다.··· 더보기
2006년 12월 15권 12호 2006 노벨물리학상 / NASA에서 발사한 COBE 위성을 통해 John Mather(위)와 George F. Smoot(아래) 박사가 관측한 우주배경복사의 비등방성과 흑체복사 곡선(가운데). (출처: http://nobelprize.org/nobel_prizes/physics/ laureates/2006/index.html, http://lambda.gsfc.nasa.gov/product/cobe/)··· 더보기
2006년 11월 15권 11호 아시아 태평양 이론물리센터 10주년 / APCTP 10주년 기념. 가운데 사진은 1996년 개소학회(Inaugural conference), 오른쪽 사진은 센터 전경이다. (사진 제공: 아시아태평양 이론물리센터)··· 더보기
2006년 10월 15권 10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1976년 설립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올해로 30주년을 맞이한다. 표지 중앙의 그림은 ETRI 설립 30주년을 기념하는 엠블럼으로서 ETRI가 21세기 IT R&D Global Leader로서 사명을 다하는 늘 깨어있는 연구기관임을 상징하고 국제적 역량의 극대화를 위한 적극적인 의지를 표현한다. 표지 상단은 ETRI에서 세계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한 CDMA 디지털이동통신 기술의 연구 장면이고, 좌측 사진은 CDMA 휴대전화기용 Analog ASIC과 모뎀 ASIC을 보여준다. 표지 아래 사진은 ETRI에서 국산화에 성공하여 우리나라 IT 산업발전의 초석이 된 전전자식교환기 (TDX-10) 기술의 연구 장면이다. (사진제공: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더보기
2006년 9월 15권 9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표지사진은 길이, 질량, 온도, 시간 등 7개 기본단위와 더불어 의료, 식품, 환경 등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가꾸어 나가는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의 다양한 연구분야를 표현하고 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최근 첨단산업 측정, 미래 신수요 측정, 우주광학, 진공기술 등 미래 산업을 선도할 측정기술을 연구개발하고 있다. (사진제공: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더보기
2006년 7/8월 15권 7/8호 한국천문과학연구원과 천문/우주과학연구 / 1996년 4월에 준공하여 올해로 10년이 되는 보현산천문대는 한국천문연구원의 대표적 연구시설이다. 국내 최대 구경의 1.8 m 반사망원경과 태양플레어 망원경이 설치되어 있어 국내 광학천문관측의 중심지로 항성, 성단, 성운과 은하 등의 생성과 진화를 연구하고 있다. 보현산천문대는 지난 10년간 1k 및 2k CCD 카메라시스템, 중분산분광기에 이어, 최근에는 고분산 에쉘 분광기(BOES)를 개발하여 21세기 천문학계의 주요 연구 이슈 중 하나인 외계 행성계 탐색 등과 같은 새로운 연구 분야를 개척해 나가고 있다. 이제까지의 업적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한국천문연구원은 6.5 m 급 대형망원경 건설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표지의 1.8 m 광학망원경은 국보로 지정된 두 개의 고천문 유물과 함께 2007년에 발행될 만원 신권의 도안에 채택되었다. (사진제공: 한국천문연구원)··· 더보기
2006년 6월 15권 6호 물리학과 나노기술 / 올해로 창립 40주년을 맞이한 KIST는 나노기술을 5대 중점 연구영역 중의 하나로 선택하여 집중 연구를 하고 있다. 표지는 광자결정 광섬유, GaN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스핀주입소자, Comb형 ZnO 나노구조체, 그리고 스트레인을 이용하여 일직선으로 성장된 자발형성 양자점 등을 소개한 것이다. 필름 속에는 최형섭 초대 연구원장을 비롯하여 초기연구소 건설과 연구기반 조성에 기여한 연구원 사진과 40년이 지난 현재의 KIST 전경 모습을 담았다. (사진 제공: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