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난호





|

특집

재료 세상의 슈퍼히어로

편집후기

작성자 : 이정구 ㅣ 등록일 : 2021-10-21 ㅣ 조회수 : 727

2019년 일본정부가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 핵심 소재 품목에 대한 한국 수출을 규제한 이후 언론에서도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이슈를 연일 보도하면서 이제는 일반인들도 소부장의 중요성을 인지할 정도가 되었다. 바꾸어 말하면, 소부장은 오래전부터 우리나라 주력산업인 전기·전자, 자동차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크게 주목을 받지 못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소부장에서 특히 소재는 부품과 장비에 비해 개발에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미래산업을 예측하고 전략적이고 장기적인 안목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번 소부장 사태는 우리가 이러한 부분을 소홀히 하였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지만, 우리에게는 위기를 기회로 만들 수 있는 동기부여가 되어 정부에서도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하지만, 소부장 특히 소재는 단기간의 집중적인 지원이나 관심만으로는 원천기술개발에서 사업화까지 성공하기는 쉽지 않다. 18세기 중반의 산업혁명 이후 산업변화의 주기가 갈수록 짧아지고 있고, 우리는 벌써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살고 있다. 전기차가 도로주행을 시작하여 일상생활에 다가온 것이 얼마 전인데 이제 전기항공과 전기선박시대도 머지않은 것 같다. 이처럼 산업변화 주기가 짧아짐에 따라 소재가 산업을 따라가기가 갈수록 힘들어지고 있다. 또한, 인류가 지구환경오염 및 자원고갈과 같은 또 다른 문제에 직면하면서 소개개발에서 이전처럼 단순히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넘어 친환경 제조공법을 적용하고 희소금속 사용을 줄일 수 있는 기술개발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개발 경쟁도 보다 치열해지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관점에서 당장의 소부장 문제 해결을 위한 소재개발에서 한발 더 나아가 미래 신산업에 대비하여 미래의 소부장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한국재료연구원에서 연구개발 중인 소재 몇 가지를 소개하였다. 특히, 이러한 신소재들은 물리학에서 축적된 지식이 접목되어 응용될 때 큰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다. 물리학자에게 이러한 소재를 소개하고 관심을 유도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융합연구의 활성화를 기대하며 이번 특집호를 준비하였다. 연구개발에 바쁘신 가운데 집필에 시간을 할애해 주신 집필진에게 다시 한 번 깊은 감사를 드린다.

[객원 책임편집위원 한국재료연구원 책임연구원 이정구 (jglee36@kims.re.kr)]

물리대회물리대회
사이언스타임즈사이언스타임즈


페이지 맨 위로 이동